일본 우편저축은행서 확인… 미지급 임금 추정

[천지일보=정현경 기자] 일제 강점기에 강제 징용된 조선인 노동자의 통장 수만 개가 일본에서 발견됐다고 교도통신이 7일 보도했다.

이로써 일본 기업 등이 조선인 노동자가 받아야 할 돈을 제대로 주지 않았음을 뒷받침하는 ‘물증’이 발견됨에 따라 일본 기업을 상대로 한 징용 피해자의 임금 소송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미지급 임금 청구 요구가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교도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조선인 징용노동자 명의의 우체국 통장 수만 개가 당사자 동의 없이 일본 유초은행(郵貯·우편저축은행) 후쿠오카(福岡)현 후쿠오카시 저금사무센터에 보관된 것이 확인됐다. 이는 미지급 임금을 적립한 통장인 것으로 추정된다.

모리야 요시히코(守屋敬彦) 전 사세보(佐世保) 고등전문학교 교수에 따르면 당시 많은 기업이 조선인 노동자가 달아나는 것을 막으려고 임금 전액을 주지 않고 일정액을 우체국 등에 강제로 저축시켰으며, 일본 기업은 이 저축액 대부분을 돌려주지 않은 것은 물론 광복 후에 관련 사실을 알려주지도 않았다.

통장의 정확한 수량이나 잔액 합계 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교도통신은 도쿄(東京) 소재 ‘우편저금·간이생명보험관리기구’에 조선·대만·남양제도 등에서 활용된 ‘외지우편저금’ 계좌 약 1만 8천 개(약 22억 엔)와 옛 일본군과 군무원이 전지(戰地)에서 이용했던 ‘군사우편저금’ 계좌 약 70만 개(합계 21억 엔)의 존재도 파악했다고 전했다. 이들은 모두 당사자에게 반환되지 않았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