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명승일 기자] 민주당의 장외투쟁이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국가정보원 국정조사 등이 뚜렷한 진전을 보지 못하면서 원내로 회군할 명분이 갈수록 줄어드는 양상인 것이다. 

현재 국정원 국정조사는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핵심증인인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이 불출석하면서 지난 14일 청문회는 무산됐다.

이에 국회 국정원 국정조사 특위가 원 전 원장과 김 전 청장에 대한 동행명령장을 의결하면서 16일 청문회가 개회될 예정이다.하지만 이들이 청문회에 출석한다고 하더라도 성의 있게 임하지 않을 경우 별다른 성과를 기대하긴 어렵다.

무엇보다 여야 간의 힘겨루기로 국정원 국정조사가 난항을 겪을 경우 장외투쟁 장기화를 놓고 민주당의 고심은 깊을 수밖에 없다. ‘국정원 개혁’이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경우 원내로 회군할 명분이 줄어드는 셈이다.

이처럼 국정원 국정조사가 지지부진하면서 당내에선 전면적인 장외투쟁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원내외 투쟁을 병행한다는 방침을 고수해 왔으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직면한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에게 제안한 단독회담의 수용 여부도 안갯속이다. 새누리당은 민주당이 단독회담을 제안한 데 대해 3자 회담을 역제안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청와대가 3자 회담을 제안하면 진지하게 고려하겠다”면서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하지만 청와대는 아직 ‘침묵’을 유지하고 있다.

배재정 대변인은 “혹시 여당이든 야당이든, 그리고 국민이든, 통치의 대상일 뿐 대화 상대는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은 아닌지 묻고 싶다”면서 “지금이라도 아무런 조건 없이 김 대표를 만날 것을 촉구한다”며 박 대통령이 단독회담을 수용해야 한다고 재차 압박했다.

민주당이 전면적인 장외투쟁에 들어가더라도 고민이 완전히 사라지는 게 아니다. 장외투쟁의 역풍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일단 “정쟁만 난무한다”는 지적 속에서 9월 정기국회를 앞두고 ‘민생’을 팽개친다는 비난에 직면할 수 있다.

여야 간 신경전으로 국정원 국정조사에 대한 국민의 피로도가 높다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하는 분위기다. 민주당이 전면적인 장외투쟁에 들어갈 경우, 원내로 회군할 수 있는 명분도 그만큼 사라진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