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이승연 기자] SKT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동기 대비 33.2% 증가한 5534억 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직전 분기보다도 34.8% 증가된 수준으로 마케팅 비용 감소의 영향을 받은 결과다.

SKT는 “비용 중심 가입자 모집 경쟁에서 벗어나 상품과 서비스 중심의 경쟁으로 시장 패러다임을 전화하려는 자사의 꾸준한 노력으로 마케팅 비용이 감소한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SKT 별도실적 기준 총 마케팅 비용은 전분기 대비 5.9%, 지난해 대비 11.2% 감소했다.

매출은 LTE 가입자 지속 증가와, SK텔레콤 3대 신 성장동력의 한 축인 B2B 솔루션 사업 성장 등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1.3%, 전년동기 대비 3.9% 증가한 4조 1642억 원을 기록했다.

SKT 가입자 중 LTE 이용자는 6월 말 기준 1102만 명으로 전체의 40%를 넘어섰다. 지난 6월 26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LTE-A 네트워크 이용자 역시 한 달 만에 30만 명에 이르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당기순이익은 시장 안정화에 따른 영업이익 증가와 SK하이닉스 사업 호조로 1969억의 지분법 평가이익이 발생하는 등 투자회사 실적 개선 영향에 따라 전 분기 대비 35.2% 증가해 4677억 원을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2분기 매출 3조 9330억 원, 영업이익 1조 1140억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실현했으며, 당기순이익은 9470억을 기록했다.

SKT는 지난 2분기 세계 최초 LTE-A 상용화와 서비스 중심 경쟁 본격화로 ICT 산업 발전을 선도해 왔다고 평가했다. 또한 지난 5월 선언한 ‘고객, 사회와 함께하는 행복 동행’을 실천하며 실질적 고객 혜택 증대와 ICT 생태계 동반성장 토대 마련에도 힘썼다고 밝혔다.

그 결과 고객 만족도와 시장과열 정도를 대변하는 지표인 해지율이 2분기 평균 2.27%로 2006년 이후 처음으로 3분기 연속 2.4% 이하를 기록했다. ‘T끼리 요금제’와 ‘전국민 무한 요금제’의 선도적 도입과 ‘착한 기변’, ‘데이터 리필하기’, ‘멤버십 한도 리필하기’ 등 기존 가입자 혜택 강화를 통한 우량고객 유지 및 시장 안정화 전략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착한 기변’의 경우 기변 고객의 70% 이상이 이용하는 등 큰 호응을 얻고 있어 해지율은 향후 지속 축소될 것이라고 회사 측은 전망했다.

하반기에도 상품·서비스 측면에서의 고객가치 제고와 우량고객 유지 중심 시장 운영을 지속할 예정이어서, 시장 안정화를 통한 이익 개선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SKT는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SKT는 LTE-A 서비스 지역을 예정보다 한 달 빠른 30일 서울 전역을 비롯한 전국 84개시 중심가로 확대했다. 연내 총 3만 2000식의 기지국을 구축해 커버리지를 더욱 늘리고, 300여 대학가에서도 LTE-A를 제공할 계획이다.

두 배 빠른 LTE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차별화된 서비스와 요금제도 속속 출시 준비 중이다.

또한 초고속 LTE-A 서비스의 보편화는 모바일 기반 다양한 융복합 사업 모델 확산을 더욱 가속화시킨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솔루션, 헬스케어, 미디어 등 신규 성장사업의 호조도 가속화될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했다.

한편 SK플래닛은 SK M&C와의 합병 시너지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했다. 특히 11번가, OK캐쉬백 등을 중심으로 웹‧모바일 통합 커머스 영역에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으며, 터키‧인도네시아 등에서의 성공적 해외시장 개척도 기대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