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유출‧치매 등 5대 대응분야 선정
[천지일보=이승연 기자] 연이은 화학물질 유출사고, 층간소음으로 발생하는 이웃 간의 불화, 늘어나는 청소년 비만 등 최근 심각성이 부각되고 있는 사회문제의 해결사로 미래창조과학부가 나선다.
미래부는 사회문제를 과학기술을 통해 해결하는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올해 중점적 대응이 필요한 5개 사회문제 분야를 선정했다고 10일 발표했다.
국민제안과 전문가 설문조사 및 평가 등을 거쳐서 도출된 사회문제(388개) 중 이번에 선정된 5개 중점 추진분야는 ▲화학물질 유출▲청소년 비만 ▲항암치료 부작용 ▲치매 ▲층간소음 등 최근 이슈가 됐던 사회문제가 대부분이다.
사회적으로 파급성이 크고 해결이 시급한 사회문제 중 기술개발을 통해 3~5년 내 성과를 낼 수 있는 분야를 선정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새로운 공공서비스나 제품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미래부는 각 분야와 관련한 과학기술 개발 과제도 선정했다. 화학물질 유출사고와 관련해서는 ‘작업자 부착용 초소형 유해물질 감지 장치개발’을 개발 과제로 삼았다.
구미 불산누출 사고나 삼성전자 화성 공장에서 발생한 불산누출 사고 등 사망자가 발생한 대부분의 사고가 근로자가 누출된 화학물질에 노출되면서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에 미래부는 작업자의 몸에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면서도 검출과 경보가 동시에 가능한 장치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조기 진단이 중요한 ‘청소년 비만’과 ‘치매’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조기 진단 기술을 통한 비만 예방 ▲알츠하이머성 치매 조기 진단을 각각 과학기술 개발 과제로 선정했다.
층간소음 문제는 ‘소음저감 바닥재, 능동형 소음저감 기술개발’ 등을 과제로 선정했다. 계속해 증가하는 층간소음 민원은 2009년부터 300건 이하로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지속되고 있는데다, 최근에도 층간소음 문제로 야기되는 범죄사고가 끊이지 않을 정도로 심각하다.
미래부는 선별된 다섯 가지 분야의 개발 과제들이 성실하게 이행될 수 있도록 올해 90억 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단 층간소음 문제는 국토교통부가 주관해 추진하기 때문에 투자 대상에서는 제외 됐다.
한편 미래부는 국민과 산‧학‧연 전문가를 대상으로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11일 오후 2시 국립과천과학관 창조홀에서 공개토론회도 개최한다. 이를 통해 수렴된 의견과 관계부처 간 협의 결과를 반영해 9월까지 사회문제별 상세 사업기획을 마무리하고 연구단 선정에 나설 계획이다.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사업: 사업기획 단계부터 ‘필요성을 느끼는 시민, 정책을 담당하는 부처,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부처’ 등이 함께 협업을 통해 해결책을 마련하는 솔루션 제공형 연구개발(R&D) 사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