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격수’ 위주 의원 배치… 증인채택 등 줄다리기
[천지일보=명승일 기자] 국정원 국정조사를 둘러싸고 여야 간 치열한 힘겨루기가 예상된다. 이른바 ‘저격수’로 꼽히는 여야 의원들이 대거 배치된 데다 조사범위 등을 놓고 입장차가 팽팽하기 때문이다.
여야는 최근 국정원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구성을 마쳤다. 대부분 국회 법사위와 정보위 소속 의원으로 구성돼 ‘강대강’ 대결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새누리당은 이철우 김재원 정문헌 김진태 김태흠 의원 등 9명을 위원으로 선임했다. 국회 법사위원회 간사인 권성동 의원이 간사를 맡았다. 민주당은 특위 위원장을 맡은 신기남 의원을 비롯해 박영선 박범계 신경민 전해철 의원 등 8명을 위원으로 배치했다. 간사는 정청래 의원이 맡게 됐다.
여야가 ‘저격수’로 분류되는 의원을 위원으로 임명함에 따라 2일로 예정된 국정조사 계획서의 본회의 제출 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야는 특히 증인채택 부분에서 입장을 달리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매관매직 의혹이 제기된 민주당 김부겸 전 의원과 문재인 의원의 출석을 요구할 계획이다. 민주당은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을 불러야 한다는 입장으로 맞설 방침이다.
문제는 지난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 사전 유출 의혹이 확산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유출 의혹을 받고 있는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주중대사를 불러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새누리당은 그러나 이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대화록 사전 유출 의혹과 관련해 민주당은 이를 조사 범위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한다. 반면 새누리당은 국정원 댓글 의혹 사건인 만큼, 사전 유출 의혹을 포함시켜야 한다는 데는 부정적인 분위기다.
이와 관련, 양당의 기싸움이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국민을 경악시킨 대화록 내용에 대한 사과나 입장표명은 한마디도 없이 절차만 문제 삼는 적반하장식 정치를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에 맞서 민주당 의원 70여 명은 국정조사와 별도로 국정원의 정상회담 대화록 공개와 사전 유출 의혹에 대한 청문회를 열자고 제안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