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김일녀 기자] 최근 국회에서 입법추진 중인 경제민주화 논의는 필요한 부분도 있지만 현재의 논의는 과도하다는 기업의견 조사결과가 나왔다.

12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기업 302개사(대기업 149개사, 중소기업 153개사)를 대상으로 ‘국회 기업정책 현안에 대한 기업의견’을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44.7%가 이같이 답했다. ‘경제에 도움이 되므로 계속 추진해야 한다(28.1%)’ ‘기업활동을 위축시키므로 논의를 재고해야 한다(27.2%)’는 순으로 조사됐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의 경우 48.3%가, 중소기업의 경우 41.2%가 ‘경제민주화는 필요한 부분도 있지만 현재의 논의는 과도하다’고 응답했으며, ‘경제에 도움되므로 계속 추진해야 함’이라는 응답은 대기업 21.5%, 중소기업 34.6%였다.

경제민주화 입법의 부정적 영향으로는 ‘투자와 일자리 위축(35.4%)’을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으며, ‘기업경쟁력 저하(30.5%)’ ‘잠재성장률 저하(17.5%)’ ‘반기업정서 심화(11.3%)’ ‘소비자 피해 발생(5.3%)’ 등이 뒤를 이었다.

경제민주화 정책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53.6%(대기업 65.1%, 중소기업 42.5%)가 ‘대기업 규제 위주의 경제민주화 정책이 중소기업에도 피해를 입힌다’고 답했다.

특히 어떤 정책이 중소기업에 부담이 될 것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해서는 ‘일감몰아주기 규제 강화(37.4%)’ ‘신규 순환출자 금지 등 대기업 지배구조 개선(27.8%)’이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주요 현안에 대해 기업들은 대체로 부정적 의견을 나타냈다. 기업의 내부거래와 관련해서 응답기업 대부분(79.5%)은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법의 테두리 내에서는 활용할 수 있다’고 응답한 반면 ‘일감몰아주기 오해가능성이 있으므로 가급적 피하는 것이 낫다’는 응답은 20.5%에 그쳤다.

응답기업 중 계열사 간 거래를 하고 있는 기업은 46.7%였으며, 계열사 간 거래의 이유는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70.3%)를 가장 많이 꼽았다. ‘거래비용 절감(18.4%)’ ‘보안 문제(7.8%)’ ‘경쟁입찰의 결과(2.1%)’ 등이 뒤를 이었다.

대기업의 신규 순환출자 금지와 기존 순환출자의 점진적 해소 등 경제력 집중을 완화하기 위한 법안이 기업경영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기업의 신속한 의사결정 방해 등 기업경영에 악영향(42.1%)’이라는 답이 ‘소액주주권 향상, 기업문화 개선 등을 통해 기업경영에 긍정적 영향(24.1%)’이라는 답보다 훨씬 많았다.

최근 논의가 활발한 갑을문화 개선에 대해서는 ‘기업 자율적인 문화 개선(64.9%)’을 통해 추진하는 것이 ‘법제도적 규제 강화(35.1%)’에 비해 낫다는 의견이 많았다.

전수봉 대한상의 상무이사는 “과거에도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은 있었지만 학계와 경제계, 정부 등의 충분한 검토와 논의를 거쳤었다”며 “경제민주화 관련 법안들을 단시일 내 한꺼번에 처리하기보다는 현안별로 단기와 중장기로 처리돼야 할 내용들을 정리하고,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신중하게 처리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