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찬일 (사)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

 
김정은의 특사 최룡해가 3일간의 중국 방문을 마치고 돌아왔지만 북한의 반응은 신통치 않다. 조선중앙통신은 최룡해가 시진핑 주석 면담에서 제의한 6자회담 재개에 대해선 일언반구 언급이 없는 가운데 중국은 여전히 북한의 우방이란 점만 강조하였다. 앞에서는 호언장담이지만 여전히 후광은 절실한 모양이다. 이번 북한 특사의 중국 방문은 두 차례의 유엔안보리 제재에 중국이 동참하면서 양국 관계가 사상 최악의 사태에 이른 절정에서 이루어졌다.

북한은 지난 약 4개월 동안 중국에 대해 필설로 표현할 수 없는 분노를 분출해 왔으며 중국은 그에 아랑곳없이 금융제재 등 유엔안보리 제재를 착실하게 준수하였다. 이로서 한때는 안보동맹을 중심으로 자아의 경계가 무의미해질 만큼 가까웠던 두 나라 사이에는 태산같은 대립각이 세워졌다. 만약에 이번에 북한이 특사를 제때에 파견하지 않았다면 북-중 간에는 다시는 돌이킬 수 없는 균열이 발생하였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대북제재 완화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즉 당분간 중국은 유엔안보리 결의에 동참하는 대북제재를 호락호락 풀 것 같지 않다는 말이다. 시진핑 주석은 최룡해를 만난 자리에서 비핵화를 무려 세 차례나 강조하였다. 왜 그랬을까. 얼마 뒤 있을 미-중 정상회담, 또 6월 말 열리게 될 한-중 정상회담에서 뭔가 중국의 역할을 설명해야 하기 때문이다.

중국의 작심은 최룡해 특사를 만나는 절차에서부터 드러났다. 즉 시진핑 주석은 그가 도착하기 하루 전인 지난 21일 쓰촨성 지진피해 현장으로 내려갔으며 총리마저 외국순방길에 올랐다. 최룡해는 도착 당일 왕자루이 당 연락부장에게 점심 한 번 얻어먹고 이튿날에는 정치국 상무위원 서열 5위인 류윈산을 만났다. 원래대로라면 상무위원 서열 3위이며 한반도통인 장더장(張德江)을 만났어야 했다.

특히 중국은 최룡해가 귀국하는 24일에도 시 주석과의 접견을 확인하여 주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최룡해는 이날 오전에 잠깐 중앙군사위원회 판창룽 부주석을 만난 것을 빼고는 내내 숙소인 댜오위타이(魡魚臺)에 머물며 오후 3시 넘어서까지 꼼짝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시 주석 면담이 불발된 것 아니냐는 관측까지 나돌았다.

오후 5시 출발 예정이던 북한 고려항공 특별기는 저녁 7시 반으로 연장하며 최룡해 일행을 기다려야 했다. 최룡해가 출국 시 입고 간 군복을 벗고 대신 인민복을 입고 시 주석을 예방한 데 대해서도 이견이 있다. 즉 중국 공산당 측이 인민복 착용을 요구하였다는 설이 있다. 중국에는 군인 중 최고 계급이 상장이다. 그

런데 작은 우방의 특사가 차수 견장을 달고 나타나는데 대해 중국 공산당은 별로 달갑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평양으로 돌아가는 비행기 안에서 최룡해 일행은 무슨 생각을 하였을까. 겨우 옥수수 몇 만 톤의 선물에 감동하여 눈물이라도 흘렸을까. 아니면 주먹을 불끈 쥐고 “어디 두고 보자”며 또 다시 분노를 표출하였을까. 둘 다 무의미한 짓이다.

한때는 중국보다 경제발전도 앞서 본 적이 있는 북한이 왜 오늘 중국 앞에 이토록 작아졌는가. 대답은 간단하다. 중국 공산당이 개혁 개방으로 나아갈 때 북한은 더욱 문을 닫아 매면서 폐쇄와 고립으로 갔고, 중국에서 벌써 5세대 지도자가 등장하였지만 평양에는 김 씨 왕조 그대로이다.
핵무기를 보유하여 강대국의 반열에 올랐다는 북한의 특사가 누리는 지위가 이 정도다. 이것은 오늘날 북한이 국제정치무대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축소판이다.

북한의 비핵화는 중국은 물론 세계의 요구이며 동북아 평화의 핵이다. 만약 이번에도 북한이 국제사회의 비핵화 요구를 거역한다면 중국은 묵과하지 않을 것 같다.

시진핑은 후진타오가 아니며 장쩌민은 더더욱 아니다. 그저 북한의 앙탈을 좌시하며 북한의 지정학적 위상을 존중하며 임기를 마무리한 그들과 달리 시진핑 주석은 한-중 관계, 미-중 관계의 돈독한 파워로 반드시 북한에서 핵을 제거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