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이 폐쇄냐 유지냐의 갈림길에 섰다.

지난 2010년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으로 남북관계가 최대의 위기를 맞았을 때도 개성공단은 조업을 멈추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남북경협의 마지막 상징인 개성공단이 최대 위기를 맞은 형국이다. 정부는 지난 26일 개성공단 체류인원 176명의 전원 철수를 결정했다. 이 같은 결정에 따라 27일 남측 근로자 126명이 귀환했다. 마지막 남은 인원 50명은 29일 귀환할 예정이다.

남측 체류인원의 귀환 조치는 북측이 대화를 거부한 데 따른 것이다. 북한은 26일 우리 정부의 개성공단 실무회담 대화 제의를 거부한 바 있다. 이후 북한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의 대변인은 27일 “개성공업지구가 완전히 폐쇄되는 책임은 전적으로 남측이 지게 될 것”이라고 우리 정부에 책임을 돌렸다. 그러면서 “개성공업지구마저 대결정책의 제물로 만들 심산이 아닌지 우리는 예리하게 지켜보고 있다”고 전했다. 개성공단의 폐쇄 조치를 하지 않은 가운데 우리 정부의 움직임을 지켜보겠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개성공단 정상화의 ‘불씨’가 모두 사라진 게 아니라는 해석이 있다.

개성공단이 폐쇄될 경우 남북관계에 적잖은 영향을 주게 된다. 경색 국면의 남북관계는 더욱 꼬일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금강산 관광사업의 전철을 밟아선 안 된다. 이로 볼 때 우리 정부는 개성공단 정상화에 대한 희망의 끈을 버려선 안 된다. 이제 북한이 경계하고 있는 한미 연합 독수리 연습은 이번 주에 끝난다. 따라서 정부는 물밑접촉을 통해서라도 북측에 대화를 제의해야 한다.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통해서도 북한이 대화의 테이블로 나오도록 유도해야 한다. 박근혜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서도 해법의 실마리를 찾길 기대한다. 북한 역시 우리 정부의 대화 제의에 응해야 할 때라고 본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