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천지일보DB
자동차. ⓒ천지일보DB

각종 글로벌 악재 장기화

신차·중고차 가격 ‘고공행진’

수익성개선·환경규제 여파

[천지일보=정다준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자동차 가격이 상승하는 카플레이션(car+flation) 현상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완성차 업계의 수익성 우선 전략과 환경 규제 강화로 시장에서 저렴한 자동차가 사라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자동차연구원(한자연)은 11일 발표한 산업 동향 보고서에서 “우크라이나 사태와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 소재가격 급등 등으로 각국의 신차·중고차 가격이 고공행진 중”이라며 “정부는 차 관련 세제의 전반적인 재검토 및 자동차 생산비용 절감 방안 등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글로벌 자동차 부품 공급망에 불확실성이 증폭됨에 따라 카플레이션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인다”며 “전쟁 장기화 시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러시아산 네온(Ne), 팔라듐(Pd) 공급, 우크라이나산 와이어링 하네스 등 부품 공급 문제가 더욱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대(對) 러시아 경제제재에 따른 국제 유가 상승, 러시아 육상 운송 제한에 따른 물류비용 증가 등이 자동차를 포함한 제조업 전반의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한자연은 이와 동시에 저렴한 차가 완성차 기업의 전략 강화와 환경 규제로 시장에서 감소 중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완성차 기업들이 대당 이익률이 낮은 소형 세단·해치백 생산을 줄이고, 수익성이 높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이나 픽업트럭, 프리미엄 차종의 비중을 확대해가는 추세라는 것이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주요 완성차 기업들은 자동차 반도체 공급난에 맞서 수익성이 높은 차종을 보다 많이 생산해 판매대수 감소에 따른 실적 하락을 상쇄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배출가스 등 규제 대응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수익성이 낮은 차종은 시장에서 자연스럽게 퇴출되고 있다고 한자연은 분석했다. 그러면서 “2025년 발효 예정인 유로-7 환경 기준은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최신 내연기관차도 충족이 상당히 어렵다”며 “대응을 위해 대부분 차종에서 파워트레인 전동화 등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자연은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으로 한국을 포함한 각국 소비자의 실질 구매력이 감소할 수 있다며 소비자는 신차 구매를 포기하거나 미룰 수 있다고 내다봤다. 또한 중국 완성차 등이 이 틈을 노려 부상할 가능성도 제기했다.

이 같은 상황에 한자연은 “생계 수단으로서의 자동차에 대한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정부는 취약계층의 자동차 구매여력 변화에 대응해 관련 세제 전반을 재검토하는 한편, 차 생산 비용을 구조적으로 절감하기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한자연은 ▲차 관련 세목 정리 ▲취약계층의 차 세금 감면 범위 확대 ▲희소 자원 대체 및 사용량 줄이는 R&D ▲차량용 반도체 수 줄이는 아키텍처 혁신 R&D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키워드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