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국토교통부가 한국부동산원과 지난해 상반기 분양단지를 대상으로 주택청약 및 전매 실태에 대한 합동점검을 실시해 부정 청약 및 불법 전매 등 총 125건의 시장교란 행위를 적발해 수사 의뢰했다고 밝혔다.
적발된 주요 유형을 보면 ▲청약 자격을 얻기 위해 주소지만 옮겨 청약하는 방식의 위장전입 100건 ▲당첨 가능성이 큰 청약통장 또는 청약 자격을 매매하는 통장매매 14건 ▲재차 특별공급을 받거나 청약점수를 높이기 위해 허위로 이혼하는 방식의 위장이혼 9건 ▲전매제한기간 중 이면계약을 체결(매매대금 수수)한 후 전매제한기간이 끝나면 시행사와 분양권 권리의무승계 처리하는 방식의 불법 전매 2건 등이다.
국토부는 부정 청약 및 불법 전매 등 공급 질서 교란 행위 혐의가 있는 125건에 대해 경찰청에 수사를 의뢰하고, 주택법 위반 시 형사처벌과 함께 계약취소(주택환수) 및 향후 10년간 주택청약 자격을 제한하는 등 엄중하게 조치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에는 불법행위 점검 알고리즘을 개발해 모든 분양단지의 청약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점검인력을 확충해 청약 관련 불법행위 점검 대상을 2배로 확대하며, 규제지역 내 불법 전매행위도 조사한다.
국토부는 “앞으로도 공정하고 투명한 부동산 시장을 조성하고, 공급 질서 교란 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강도 높은 점검 활동을 지속해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이우혁 기자
goodays4@newscj.com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