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직원 누구나 활용하도록 자동화
빅데이터 기반, 서비스 기획 시 활용
타깃 고객 자동 설정, 고객 반응 집계
테스트 대상 고객 선정하는데 단 2분
결과 분석도 1시간 이내에 완료된다
[천지일보=손지아 기자] 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가 임직원 누구나 서비스 기획 시 빅데이터 기반으로 고객의 니즈를 쉽게 파악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A/B테스트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A/B테스트란 기존안(A)과 개선안(B)을 서비스나 UX에 반영하고 고객의 반응을 데이터로 수집해 어떤 버전이 더 나은지 판단하는 방법이다. 서비스를 직접 이용하는 고객의 행동 데이터를 수집해 개선안에 반영한다는 게 장점이지만 테스트 목적에 적합한 타깃 대상 고객을 선정하고 고객의 행동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결과를 확인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했다. 또한 단일 서비스에 다수의 A/B테스트를 동시에 진행하기 어려웠다.
이번에 LG유플러스는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DX)의 일환으로 A/B테스트를 쉽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A/B테스트 플랫폼’을 개발했다. CTO 조직에서는 작년 초부터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통신업의 특성에 최적화된 A/B테스트 플랫폼을 개발했고 지난 10월부터 U+tv, U+모바일tv, U+아이들나라 서비스 개선업무에 투입했다.
이 A/B테스트 플랫폼에서는 LG유플러스 서비스에 가입한 고객 정보와 사용 이력 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타깃고객 조건을 자동설정하고 실사용 행동 로그를 기반으로 고객의 반응을 집계해 통계 검정 결과를 자동분석 할 수 있다.
기존 A/B테스트에서는 타깃 대상 고객을 선정하는데 최대 3주가 걸렸지만 A/B테스트 플랫폼에서는 단 2분으로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최대 4주가 걸렸던 결과 분석 시간도 1시간 이내에 마칠 수 있어 업무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상승시켰다. 특히 테스트에 적합한 타깃고객 조건을 마우스 조작만으로 쉽게 추출할 수 있어 임직원 누구나 빅데이터 A/B테스트를 시작할 수 있다.
임직원 누구나 A/B테스트를 생성해 결과를 공유할 수 있고 다수의 테스트 간 타깃고객 중복 설정(Conflict)을 방지할 수 있는 협업에 최적화된 환경을 조성했다. 또한 실험군별 UI/UX를 개발하지 않고도 테스트할 수 있는 ‘멀티편성기술’을 구현했다.
LG유플러스는 내년에는 서비스나 UX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모든 의사결정에 A/B테스트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앞으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를 결정하는 문화가 사내에 뿌리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LGU+, 이덕재 전 포디리플레이 CCO 영입… 콘텐츠 사업 진두지휘
- LGU+, 이덕재 전 포디리플레이 CCO 영입… 콘텐츠 사업 진두지휘
- [이슈분석] 5G 주파수 추가 할당, 편익일까 특혜일까?
- [이슈분석] 5G 주파수 추가 할당, 편익일까 특혜일까?
- LGU+, 금융 마이데이터 사업 진출 위해 예비허가 신청
- LGU+, 금융 마이데이터 사업 진출 위해 예비허가 신청
- 통신 3사, 공인알림문자 서비스 공동 개시… 전자문서 발송
- 통신 3사, 공인알림문자 서비스 공동 개시… 전자문서 발송
- LG유플러스, 자녀 미디어 안전 위한 캠페인 진행
- LG유플러스, 자녀 미디어 안전 위한 캠페인 진행
- 통신 3사, 각사각색 자녀 안심 ‘키즈폰’ 출시
- 통신 3사, 각사각색 자녀 안심 ‘키즈폰’ 출시
- 황현식 LGU+ 사장, 또 인재 확보… 美 AT&T 데이터전문가 영입
- 황현식 LGU+ 사장, 또 인재 확보… 美 AT&T 데이터전문가 영입
- LG유플러스, SR과 손잡고 기차여행 VR 콘텐츠 공개
- LG유플러스, SR과 손잡고 기차여행 VR 콘텐츠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