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종교편향 사례 만연
촛불정부 자처한 정부 실망”
[천지일보=김민희 수습기자] 문화재 관람료를 ‘통행세’로 사찰은 ‘봉이 김선달’로 비유한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의원이 발언을 두고 불교계의 반발이 거센 가운데 대한불교조계종 산하 전국비구니회(회장 본각스님)도 이에 동참해 “정부는 종교편향을 자처하고 있다”며 항의했다.
전국비구니회는 지난 29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사 앞을 항의 방문해 “특정 종교의 세를 불리는 종교편향정책을 중지하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불교계의 더불어민주당 항의 방문은 지난 16일 조계종 중앙종회를 시작으로 네 번째다.
교계 언론 등에 따르면 이날 항의방문에서 전국비구니회 집행부 스님 30여명은 ‘정부와 여당의 종교편향에 대한 전국비구니회 입장문’을 발표하고 30분간 묵언정진을 했다.
이들은 “우리 비구니 출가수행자들이 거리로 나와 정부와 여당을 향해 성토의 목소리를 내는 것은 종교편향 사례가 전국에 만연하기 때문”이라며 “우리나라 최고 지도자는 자신의 종교색을 과감히 드러내 정부조직과 정책기조가 복음화에 있는가 의심하게 만든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여당에 문화재구역입장료를 대체하는 국가 보상 방법을 강구하고, 잘못된 정책으로 종교간 갈등·분쟁이 일어나지 않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외에도 “현 정부는 대통령이 외국순방의 목적과 관계없는 명분을 가지고 추기경과 교황을 접견한다고 자연스럽게 보도하고, 대한민국 곳곳에 특정종교 성지화 작업에 국민의 혈세를 지원하는 등 그 도를 넘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 종교편향정책으로 ▲국가인권위 20주년 기념식을 명동대성당에서 개최한 일 ▲광주시가 천진암을 천주교 성지로 만드는 데 협조한 일 ▲남한산성에서 천진암을 잇는 천주교 순례길 조성 계획 ▲정청래 의원의 ‘봉이 김선달’ 비유 발언 ▲정부의 활성화 캠페인 등을 꼽았다.
이날 정관·상덕스님을 포함한 5명의 전국비구니회 대표단은 송영길 의원, 이광재 의원, 김영배 의원 등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와 면담을 진행하는 자리에서 입장문을 전달했다.
앞서 지난 10월 정 의원은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문화재청 국정감사에서 문화재 관람료를 ‘통행세’로 사찰을 ‘봉이 김선달’로 비유하는 발언을 하자 불교계에서 정 의원을 제명하라는 등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 이재명 대선후보 등이 사과한데 이어 지난달 25일엔 당사자인 정 의원이 직접 조계종 총무원장 원행스님을 만나 사과하려고 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