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박준성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28일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열린 복지국가실천연대 간담회 ‘청년 그리고 사회복지사를 만나다’에서 발언하고 있다. (제공: 민주당 선대위) ⓒ천지일보 2021.12.28](https://cdn.newscj.com/news/photo/202112/785085_805928_3951.jpg)
[천지일보=원민음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사회복지사들에게 “정규직보다 비정규직 보수가 더 낮은 상황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28일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의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개최한 청년 사회복지사들과의 간담회에서 “같은 일을 하면 비정규직에 대한 보상을 추가로 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같은 일을 해도 고용안정이 보장되는 경우의 보수보다 비정규·임시직의 보수가 높아야 정상”이라며 “우리나라는 이상하게 약자일수록 보수가 적은 희한한 사회”라고 덧붙였다.
또 “공공에서만이라도 최소한 불안정에 대한 대가를 추가 지급하고, 동일한 일에는 동일한 대가를 지급하고 어려운 일을 하면 더 많은 보수를 지급한다는 원칙이 정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한 비정규직 사회복지사가 “복지사를 일회용으로 내모는 현실에 마음이 답답하다”고 어려움을 얘기하자 이 후보는 “사람들이 ‘나는 정규직이 돼야겠다. 정규직이 아니면 이생망(이번 생은 망했다)이다’라고 생각하지 않게 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불안정에 대한 대가까지 포함해 충분한 보수를 지급할 경우 더 열심히 일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공공영역에서 단기계약, 비정규 일자리에 추가 보상을 실시해 불만이 없게, 굳이 정규직이 아니어도 살 수 있겠다는 정도로 하면 모두가 행복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이 후보는 낮은 처우를 당연하게 여기는 사회적 인식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어려움 토로에 대해 “동일노동에 동일 대가를 지불하는 것이 상식”이라며 “보수체계의 단일한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복지시설 유형에 따라 임금 차이가 많이 나는 점에 대해서도 비판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이 후보는 통일된 기준을 만들어 업무 난이도에 따라 차등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대안을 제시하며 “중앙정부 입장에서는 상향평준화를 하자니 예산이 추가로 들기 때문에 부담을 줄이기 위해 버티는 것 아닌가 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뿌리는 결국 정부의 태도에 있다. 복지는 불쌍한 사람을 돕는 것이니 착한 사람이 하는 것이고, 직업이라기보다는 선행이라는 생각이 정부 당국자와 국민의 생각 속에 깔려 있다”며 “복지는 의무이자 권리이고 종사자는 당당한 하나의 직업이라고 보는 사회를 만들면 좋겠다”고 부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