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송수지 역대 최대, 서비스수지 흑자 전환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역대 최대 운송수지 등에 힘입어 지난 10월 경상수지가 18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다만 원유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수입이 수출보다 더 빨리 늘어 상품수지 흑자 규모는 작년 같은 달보다 45억 달러 이상 감소했다.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10월 경상수지는 69억 5천만 달러(약 8조 2149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지난해 5월 이후 18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했지만, 작년 같은 달(115억 5천만 달러)보다 흑자 규모가 46억 1천만 달러 감소했다.
올해 들어 10월까지 경상수지 흑자는 모두 770억 7천만 달러로, 이 추세대로라면 올해 연간 흑자 규모가 한은의 전망치(920억 달러)에 근접하거나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770억 7천만 달러는 10월까지 누적 기준으로 2015년, 2016년 다음으로 많은 역대 3위 기록이다.
10월 경상수지를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 흑자(56억 4천만 달러)가 1년 전보다 45억 3천만 달러 감소했다.
수출(559억 7천만 달러)이 20.1%(93억 8천만 달러) 늘었지만, 수입(503억 4천만 달러) 증가폭(38.2%, 139억 1천만 달러)이 더 컸기 때문이다.
서비스수지는 6억 3천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작년 10월 8억 3천만 달러 적자에서 1년 사이 흑자로 전환했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특히 1년 전 4억 8천만 달러에 불과했던 운송수지 흑자가 22억 2천만 달러로 뛰었다. 이는 역대 최대 운송수지 흑자 기록이다.
10월 선박 컨테이너운임지수(SCFI)와 항공화물운임지수(TAC, 홍콩-미국)가 전년 동월대비 각각 212.6%, 64.7% 급등하면서 운송수입(47억 7천만 달러)이 사상 최대 수준으로 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행수지 적자 규모(4억 5천만 달러)는 작년 10월(4억 달러)보다 더 커졌다.
본원소득수지는 6억 7천만 달러 흑자로, 1년 전(25억 달러)과 비교해 흑자 규모가 18억 3천만 달러 줄었다. 배당소득수지가 1년 사이 15억 7천만 달러 흑자에서 3천만 달러 적자로 돌아선 영향이 컸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10월 중 70억 1천만 달러 늘었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77억 2천만 달러, 외국인의 국내투자도 30억 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 해외투자가 9억 4천만 달러,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 역시 39억 2천만 달러 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