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가격전망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 9p↓
금리수준전망 5p↑ 10년 8개월來 최고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이달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전환으로 소비자들의 체감 경기는 3개월 연속 개선됐다. 현재 물가상승률이 9년 만에 최고수준으로 오르면서 향후 금리인상과 물가도 더 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늘었다. 반면 주택가격 상승전망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 전월에 비해 크게 줄었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1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7.6으로 10월보다 0.8포인트(p) 높아졌다. 9월(103.8)과 10월(106.8)에 이어 3개월째 오름세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100보다 높으면 장기평균(2003∼2019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낙관적이라는 뜻이다.
10월과 비교해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 가운데 소비지출전망(115, +3p)과 현재경기판단(81, +1p) 두 지수가 상승했다. 향후경기전망(96), 가계수입전망(101), 현재생활형편(92) 지수에는 변화가 없었고, 생활형편전망(97, -1p) 지수는 오히려 떨어졌다.
CCSI 항목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취업기회전망 지수(98)도 4포인트 올랐다.
한은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과 인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인상) 우려 등의 영향으로 금리수준전망 지수(138) 역시 한 달 사이 5포인트 뛰었다. 금리수준전망 지수 절대 수준도 2011년 3월(138) 이후 10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지난 1년간의 소비자물가에 대한 체감상승률을 뜻하는 ‘물가인식(2.7%)’과 향후 1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 값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2.7%)’도 각 0.3%포인트씩 올랐다. 기대인플레이션율 오름폭(0.3%p)은 2017년 1월(0.3%p) 이후 4년 10개월 만에 가장 컸다.
하지만 주택가격전망 지수(116)의 경우 한 달 전보다 9포인트나 급락했다. 지수가 100을 넘기 때문에 여전히 앞으로 주택가격이 오를 것으로 보는 응답자가 더 많은 상태지만, 상승 전망 응답자의 비율이 10월보다는 크게 낮아졌다는 뜻이다.
황희진 한은 통계조사팀장은 “소비자심리지수 상승에 대한 기여도를 보면 소비지출전망 지수가 가장 큰데, 이는 위드 코로나로의 방역체제 전환이 원인”이라면서도 “하지만 물가 우려 등 때문에 현재생활형편지수, 생활형편전망지수는 같거나 떨어져 전반적으로 소비자심리지수 상승 폭을 줄였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