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우 보성군수(오른쪽)가 지역구 국회의원인 김승남 의원을 만나 신규사업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제공: 보성군) ⓒ천지일보 2021.3.25
김철우 보성군수(오른쪽)가 지역구 국회의원인 김승남 의원을 만나 신규사업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제공: 보성군) ⓒ천지일보DB

작년까지 총 사업비 3143억원 투입

[천지일보=명승일 기자] 연안 생태계 복원을 위한 바다숲 조성사업의 사후관리가 부실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김승남 의원이 19일 한국수산자원공단 국정감사에서 “연안 생태계 복원을 위해 매년 300억원 이상 투입되는 바다숲 조성사업 사후관리가 매우 부실하다”며 “지자체별로 맡겨지는 사후관리의 전문성을 높일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바다숲 조성 사업은 갯녹음 해소와 연안 생태계 복원을 위해 2009년부터 시작됐다. 오는 2030년까지 바다숲 5만 4000ha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매년 300억원 넘는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수산자원공단에 따르면, 현재까지 2만 6644ha의 바다숲이 조성됐으며 지난해 말 기준 3143억원이 투입됐다. 바다숲 조성사업은 조성 이후 3년까지 수산자원공단이 직접 사후관리를 맡고, 이후 해당 지자체의 예산으로 공단이 사후관리를 맡는다.

문제는 지자체별로 예산 여건이 달라 사후관리가 부실하게 진행된다는 점이다. 한 지자체는 사후관리 예산으로 2백만원을 받아 어초시설 상태와 해조류 분포 촬영 1회를 하는 데 그쳤다.

또 다른 지자체는 1억원의 예산으로 모니터링 2회, 서식생물 분석, 해조류 보식 및 조식동물 구제 등을 실행했다.

김 의원은 “매년 바다숲 조성 사업에 막대한 예산이 투입됨에도 사후관리 상황이 지자체 여건에 따라 천차만별”이라며 “공단의 지속적인 사후관리 등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