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남승우 기자] 30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들이 안심콜 및 QR코드 출입관리 후 입장하고 있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대규모 점포에 안심콜과 QR코드 등을 이용한 출입명부 작성이 이날부터 의무화된다. 이 같은 수칙은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이상부터 적용되는데, 현재 수도권에는 4단계가, 비수도권은 36개 시·군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 3단계 이상이 적용되고 있다. ⓒ천지일보 2021.7.30](https://cdn.newscj.com/news/photo/202108/746422_759858_1319.jpg)
[천지일보=황해연 기자] 올해 2분기 백화점 판매 증가율은 역대 최고를 기록한 반면 슈퍼·잡화점 판매는 가장 크게 감소한 것을 나타났다.
1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2분기 백화점 판매(불변지수 기준)는 전년 대비 20.3% 증가했다. 이는 통계 작성이 시작된 지난 1995년 이후 2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고 증가율이다.
반면 슈퍼마켓·잡화점 판매는 작년 동기 대비 10.4% 감소해 2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 감소율을 기록했다. 특히 슈퍼마켓 중에서도 일반 슈퍼마켓·잡화점(-11.2%)의 감소폭이 체인 슈퍼마켓(-9.2%)보다 더 큰 것으로 집계됐다.
2분기 소매판매액(경상금액)도 백화점의 경우 8조 3000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1.5% 늘었으나 슈퍼마켓·잡화점은 11조 1800억원으로 5.2% 줄었다.
이는 지난해 전 국민 재난지원금 지급에 따른 역 기저효과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돼 나타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전 국민 지원금 지급 당시 오프라인 소비가 증가했던 영향으로 올해 슈퍼나 전문소매점 등의 소매판매는 줄어든 반면, 백화점의 경우 작년 판매량이 워낙 적었던 데다 최근 외부 활동도 늘어나면서 2분기 판매가 급증했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면세점 판매는 39.2% 늘었고 인터넷 쇼핑·홈쇼핑 등 무점포소매 판매도 13.0% 늘었다. 전문소매점 판매는 1.0% 늘었으나 음식·가정·문화상품 소매점 판매는 3.3% 줄었다.
정부는 약 88%의 국민을 대상으로 1인당 25만원씩 지급하는 국민지원금 사용처를 소상공인·자영업자 매장 등으로 대부분 한정할 계획이다.
지난해 재난지원금 기준을 보면 대형마트·백화점·온라인몰·대형전자 판매점·유흥업종·골프장·노래방·복권방·면세점 등은 사용처에서 제외되는 반면 전통시장이나 동네 마트·주유소·음식점·편의점·병원·약국·미용실·안경점·서점·문방구·어린이집·유치원·학원 등에서는 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