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훈 주일대사 (출처: 연합뉴스)
이수훈 주일대사 (출처: 연합뉴스)

“상처 떼려다 덧날수도 있어… 文대통령 방일 올해 이뤄져야”

[천지일보=손성환 기자] 이수훈 주일대사가 위안부 문제에 대해 “호흡을 길게 보고 장기적인 접근으로 하자”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사는 지난 15일 도쿄에서 한일기자단 교류 프로그램에 참석한 기자들 간담회 자리에서 “상처가 가만히 두면 낫는데 자꾸 그걸 붙이고 떼고 그러다가 덧나고 그럴 수도 있다”며 이처럼 밝혔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이 대사는 “위안부 문제는 그 합의(2015년 12월 28일 합의)로도 해결할 수 없다”며 “한·일 간에 추가적인 어떤 노력을 같이 하기가 참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이건 어떻게 보면 더 전진이 안 되도록, 이슈가 안 되도록, 봉합이라고 할까. 사드형 해법이라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한·중이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를 둘러싼 입장 차이를 그대로 두고 교류·협력 복원에 나서기로 한 것처럼, 위안부 합의에 대해서도 정부가 한·일 간 입장 차이를 유지한 가운데 문제의 봉합을 시도하는 방식을 택했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대사는 또한 “상대방이 수용하고 이해하는 태도를 가지고 있으면 ‘10정도 해라 우리가 90할게’ 한다든지, 아니면 ‘20대 80 이렇게 할게’라고 하든지 협상적인 노력을 해볼 수 있지만 그런 접촉이 통하지 않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피해자들이 요구하는 ‘일본의 진정한 사과’ 등에 대해서도 이 대사는 “현재로선 크게 기대하지 않는다”면서 “우리 정부가 피해자를 어루만지고 보듬고 많은 것을 하지 않나”라고 말했다.

이어 “아베 정부는 특히 총리 관저는 위안부 합의에 대한 생각이 강하다”라며 “아무리 대화해봐야 소용도 없고 그래서 이런 것이 정치권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정치인들을 많이 만난다”고 했다. 이 대사는 지난달 ‘한·일 위안부 합의 검토 결과 발표’와 우리 정부의 입장 발표 이후 일본 정부 반발이 생각했던 것보다 약했다는 말도 덧붙였다.

문재인 대통령의 방일 시기에 대해서 이 대사는 “올해 안에는 당연히 와야 한다. (일본이 올해 개최할 예정인) 한·중·일 정상회의도 안 되고 영 안 되면 단독 방문이라도 해야 하는데 한·중·일 정상회의는 3∼4월에 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