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장수경 기자] 서울시가 올해 외래관광객 1700만명을 유치하겠다고 목표를 세웠다.
서울시는 올해는 서울방문 외래관광객 1700만명을 유치를 목표로 전력을 다하겠다고 24일 밝혔다. 1700만명 유치목표를 달성할 경우 취업유발인원은 60만 6000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은 1350만명을 돌파했다. 2014년(1142만명) 대비 18.8%, 2015년(1041만명) 대비 30.3% 증가한 역대 최대 규모다. 이들이 서울여행 과정에서 쓴 총 지출액(추정액)은 26조 7000억 원으로 서울시 한 해 예산(2017년 29.8조원)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이런 가운데 시는 올해 5대 중점 과제를 정해 총력을 다해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5대 과제는 평창동계올림픽 붐업 및 서울 방문수요 창출, 타깃 시장별 맞춤형 마케팅, 투어리스티피케이션(touristification) 대책 마련, 2천만 관광 수용 위한 기반 지속 강화, 서울관광진흥재단 설립 등이다.
시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성공 여부는 서울에 달려있다는 각오로, 세계적인 빅 이벤트이자 관광객 유치 특수인 평창동계올림픽의 붐업을 서울시가 주도해나가기로 했다.
올림픽 개최도시는 평창이지만, 서울이 배후도시로서 관광객 수용 태세를 갖추고 서울의 매력을 알려 새로운 관광수요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평창을 방문한 관광객이 서울에도 방문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안내, 여행편의, 숙박·음식 등 특별지원시스템도 구축, 가동할 방침이다.
또 해외 주요 전략시장과 신흥시장에 대해 공격적인 관광마케팅 활동에 전개한다. 이를 위해 온・오프라인을 포함한 해외 관광마케팅에 총 162억 원을 집중 투자한다.
‘투어리스티피케이션(touristification)’ 대책 마련도 첫 발을 뗀다. 북촌 한옥마을, 이화동 벽화마을 등 주거지가 관광명소가 되면서 부작용이 심각한 지역들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올 하반기 중으로 개선대책을 마련한다. 9월에는 UNWTO와 ‘공정관광 국제포럼’을 개최해 서울형 공정관광 모델을 도출해나간다는 계획이다.
관광객 유치와 함께 관광객들의 편의를 높여 재방문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존 관광정책은 지속 추진한다. 6개 관광특구 전역에 가격표시제 정착을 유도하고, 2천만 관광시대에 대비해 중저가 숙박시설 1만실 확충 방안을 모색한다. 특히 외국어 안내표지판 정비 및 안내소 확충을 통해 관광안내체계의 혁신을 이뤄낸다는 방침이다.
마지막으로, 서울관광 마케팅 기획부터 실행까지 주도적으로 수행할 ‘서울관광진흥재단’을 올 하반기 출범을 목표로 설립 추진하는 등 지속가능한 서울관광 생태계를 구축해나간다는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