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 협력 기반 마련
기후테크 산업 생태계 구축
탄소중립 전환 전략 강화

[천지일보 제주=노희주 기자] 제주특별자치도가 서울대학교와 손잡고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공동 정책 개발과 기후테크 산업 육성에 나선다. 제주도가 축적한 기후위기 정책 경험과 서울대의 융합 연구 역량을 결합해 실효성 높은 탄소중립 모델을 구축한다는 점에서 전국적 파급력이 예상된다.
제주도는 25일 서울대학교에서 서울대 환경대학원·지속가능발전연구소와 ‘기후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 지속가능 정책 연구·자문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제주도의 현장 정책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후·환경 연구를 연계해 새로운 기후테크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협약에 따라 세 기관은 ▲탄소중립·에너지 전환 정책 연구 ▲제주형 기후테크 산업 육성 전략 ▲공무원 환경 역량 강화 교육 등을 공동 추진한다. 세미나·연구포럼·워크숍을 정례화하고, 제주형 런케이션(배움여행)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제주도는 이를 통해 기후위기 대응 체계 전반을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서울대 환경대학원은 인문·사회·자연과학·공학을 아우르는 학제 간 연구 역량을 기반으로 과학적 근거 중심의 기후·환경·에너지 정책을 개발한다. 지속가능발전연구소는 탄소중립 정책 연구 경험을 활용해 제주형 기후테크 산업 생태계 조성에 참여한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재생에너지 기반 에너지 전환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가파도 프로젝트의 성과를 확장해 제주 전역의 전력·난방 분야까지 전환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도시계획까지 기후·환경 정책을 통합해야 전면적 전환이 가능하다”며 협력 기관에 지속적 연구를 당부했다.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장은 “제주가 먼저 시작하는 탄소중립 정책 모델을 함께 만드는 데 자긍심을 느낀다”며 “제주의 실증 경험은 전국 확산의 근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수종 지속가능발전연구소장은 “기후테크 육성을 위한 제도개선 논의에 제주도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서울대 환경대학원은 1973년 설립 이후 도시·환경 융합 연구를 이끌어 왔으며 2023년 국가 지원 기후테크센터를 설치해 대응 기술 개발을 강화하고 있다. 지속가능발전연구소는 2009년 설립 이후 6개 전문센터를 통해 환경·에너지 분야 정책 연구와 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제주도는 기후위기 대응, 탄소중립 정책, 기후테크 산업이라는 핵심 의제를 실증 기반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한 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