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김민희 기자] 충남 당진의 한 양돈 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해 정부가 위기 경보를 심각 단계로 격상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25일 해당 농가에서 ASF 확진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올해 들어 여섯 번째 확진 사례로, 지난 9월 경기 연천에서 발생한 이후 두 달 만이다. 충남에서는 처음 발생했다.
중수본은 전국 위기 경보를 ‘심각’ 단계로 높이고, 이날부터 48시간 동안 전국 모든 양돈 농장, 도축장, 사료공장 관련 종사자와 차량 이동을 제한하는 일시 이동 중지 명령을 발동했다. 이는 농장 간 전파 가능성을 차단하려는 조치다.
당국은 확진 농가에 초동 방역팀과 역학조사반을 투입해 출입을 봉쇄하고 살처분 및 소독 등 긴급 방역을 했다. 또 광역 방제기와 방역 차량 등 31대를 동원해 당진과 인근 3개 시군(서산·예산·아산)의 양돈 농장 313곳과 주요 도로를 집중적으로 소독했다.
발생 농장 반경 10㎞ 이내 농가(30곳)와 역학적으로 연관된 106개 농장에 대해서는 정밀검사가 진행 중이다. 중수본은 방역대 및 관련 농가 136곳을 대상으로 1·2차 임상검사와 정밀검사를 7일 내 마무리하고, 이동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주 1회 임상검사를 할 예정이다.
각 지자체는 돼지 이동 시마다 임상 및 정밀검사를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는 위험 지역 농가의 이상 여부를 매일 전화로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김정욱 농림축산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은 “이전까지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은 5건 모두 경기 북부에서 발생했으나 이번에는 우리나라 돼지 사육 규모가 가장 큰 충남에서 발생해 사안이 중대하고 전국에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며 “가용한 모든 인적·물적 자원을 총동원해 추가 발생이 없도록 총력을 다해달라”고 주문했다.
이번 확진으로 살처분되는 돼지는 1423마리로, 전체 사육 두수(약 1194만 마리)의 0.01% 이하다. 중수본은 돼지고기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수급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