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산업 육성·시민 안전·복지 확대·지역경제 회복에 중점
미래 성장산업 투자 확대… 안전·복지·청년정책 강화
AI·바이오·에너지 신산업에 집중… 복지예산은 1조 6000억대
안전분야 660억 투입, 복지예산 일반회계 절반 차지
청년·전통시장·지역경제 회복 위한 다각적 지원 포함

[천지일보 경남=이선미 기자] 창원특례시가 2026년도 예산 4조 142억원 규모의 본예산안을 시의회에 제출하며 차세대 전략산업 육성, 시민 안전망 강화, 복지 확대, 지역경제 회복을 핵심 축으로 삼는 내년도 재정 운영 방향을 제시했다. 전년 대비 2424억원(6.4%) 증가한 이번 예산안은 일반회계 3조 5286억원, 특별회계 4856억원으로 편성됐다.
세입은 지방세 9342억원, 세외수입 1663억원, 지방교부세 6538억원, 조정교부금 1480억 원, 국·도비보조금 1조 5648억원으로 구성됐다. 정부 확장재정 기조에 따른 국비 확대가 세입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분석됐다.
창원시는 내년 재정운용의 최우선 목표로 전략산업 기반 확충과 지역 경쟁력 강화를 내세웠다. 의료·바이오 첨단기기 연구제조센터 구축(16억원), 제조융합 SW 개발·실증(13억원), 초거대 제조AI 서비스 개발(10억원), 지역에너지 신산업 활성화(8억원), 대형 전기수소상용차 전기구동시스템 기반 구축(7억원), 원전기업 패키지 지원(6억원) 등 미래 성장산업 육성에 대규모 투자를 배정했다.
시민 안전망 강화도 예산의 큰 축으로 반영됐다. 신포(척산)지구 풍수해 생활권 정비사업(75억원), 신촌지구 우수저류시설 설치(23억원),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정비(20억원) 등을 포함해 총 660억원을 안전 분야에 투입한다.
전체 일반회계의 절반에 육박하는 사회복지 분야에는 1조 6687억원이 편성됐다. 노인복지 6498억원, 보육지원 2628억원, 장애인복지 1893억원, 보훈문화회관 건립 23억원 등이 포함되며 복지안전망을 촘촘히 구축하는 데 방점이 찍혔다.
지역경제 활력 제고와 청년인구 유출 방지를 위한 지원도 강화된다. 창원사랑상품권(누비전) 운영 62억원, 전통시장 지원 33억원, 청년 내일통장·청년비전센터 조성 등 청년정책 178억원, 지역공동체·공공근로 일자리 등 고용정책에 227억원이 투입된다.
아울러 도시 품격 제고와 정주환경 개선을 위한 투자도 이어진다. K예술마실섬 네트워크 구축(43억원), 진해 벚꽃로드 관광경관 명소화(35억원), 창원바다 둘레길 조성(18억원), 공공·프로스포츠 시설 개선(120억원), 내서도서관 재건립(75억원), 시립미술관 건립(18억원), 지역 재생사업 등도 내년 예산에 반영됐다.
장금용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은 “시민의 세금이 낭비되지 않도록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최우선으로 했다”며 “예산을 상반기부터 속도감 있게 집행해 지역경제 회복과 시민 체감 변화를 이끌겠다”고 말했다.
2026년도 예산안은 오는 11월 25일 개회하는 제148회 창원시의회 제2차 정례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