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보의 급감 속 대안 찾기
복지부 “한의계 역할 확대”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 응급실 앞에 진료 지연 안내문이 세워져 있다. ⓒ천지일보DB](https://cdn.newscj.com/news/photo/202511/3343410_3426695_5520.jpg)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정부가 지역 공공의료 현장에서 심화되는 ‘의사 인력 공백’을 메우기 위해 한의사 활용 확대 방안을 공식 검토한다. 공중보건의사(공보의) 감소로 농어촌 의료 접근성이 급격히 떨어지자, 상대적으로 인력 수급이 안정적인 한의사가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보건복지부는 24일 국회에서 제기된 “공보의 감소에 따라 한의사의 역할을 늘려야 한다”는 제안에 대해 “취지에 공감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보건소·지방의료원 등 공공의료기관 내 한의 진료 기능 확대와 한의 공공보건사업 활성화를 포함해 한의계 참여를 넓히는 구체적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현장의 위기감은 이미 현실이 되고 있다. 병역 자원 감소와 군 장병 처우 개선 등으로 의대생의 현역 입대 비율이 증가하면서 의과 공보의 배출이 해마다 급감했다. 이로 인해 농어촌 보건지소와 지방의료원은 일부 진료를 중단하거나, 운영 자체가 어려운 상황에 몰리고 있다. 지역 주민들은 “아플 때 갈 데가 없다”며 불안감을 호소한다.
한의사 투입을 둘러싼 반응은 엇갈린다.
한의계는 고령층 비중이 높은 농어촌 특성상 만성질환 관리, 근골격계 통증 치료 등 한의사가 잘할 수 있는 분야가 많다고 강조한다. 일부 공공한의 진료 프로그램이 지역 주민의 통증 개선과 만성질환 관리에 효과를 보였다는 연구도 있다.
반면 의료계는 “의사 부족을 한의사로 대체하려는 접근은 근본적 해결이 아니다”라고 비판한다. 특히 응급·외상 등 의학적 전문 처치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한의사가 대체할 수 없는 한계가 뚜렷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가 ‘적극 검토’ 단계에 들어선 만큼, 공공의료 현장에서 한의사의 역할 확대는 가시화될 가능성이 크다. 의료 공백에 놓인 지역사회가 실질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을지, 한의사가 대안 역할을 할 수 있을지 향후 논의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