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조선조 폐위 된 왕 가운데 하나인 광해군은 임진전쟁 중에 선조를 대신 분조(分朝)를 책임지며 국난극복에 앞장 선 임금이었다. 영민하고 국정수행 능력이 탁월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광해군은 인조반정으로 축출돼 제주도에서 참담하게 생을 마감했다.

똑똑했던 광해군은 왜 몰락했을까. 스스로 자신의 아킬레스건을 극복하지 못하고 왕위에 오르도록 한 주위 간신들을 제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광해군은 선조의 정비인 중전의 소생이 아니었다. 어머니는 후궁이었던 공빈 김씨로 광해가 세 살 때 세상을 떠났다. 적자 왕위 계승을 원칙으로 했던 조선의 전통질서에 반한 태생적 약점을 지닌 왕이었다.

선조가 병석에 있을 때 후비인 인목대비가 아들을 낳았다. 선조는 어린 왕자를 무척이나 귀여워했다고 한다. 이것이 광해를 후에 몰락의 구렁텅이로 몰아넣은 계기가 된다.

광해는 인목대비와 영창대군이 있는 한 왕위가 위태롭게 느껴졌다. 광해의 왕위 옹립에 사활을 걸었던 측신 대북파 이이첨은 폭력적인 생각을 갖게 된다. 바로 인목대비와 영창대군을 제거하는 계획이었다. 광해는 처음 대비와 영창대군을 제거할 마음은 없었던 것 같다. 이는 천륜을 위배하는 것으로 왕도(王道)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광해군을 옹립한 이이첨, 정인홍은 영창대군과 인목대비를 공격하기 위해 자신들이 조종하는 유생들을 이용해 공론을 조성한다. 아침마다 광해의 연상(硯床)에 쌓인 산더미 같은 상소문은 대북파 선비들이 이이첨의 사주로 쓴 것이었다. 내용 가운데는 대비에 대한 차마 입에 담지 못할 욕설도 있었다.

조정은 인목대비 폐출을 반대하는 서인계열의 원로대신과 대북파의 치열한 당쟁 양상을 띠게 된다. 대북파의 상소는 이어 인목대비를 두둔하는 원로대신들에게 화살을 겨누게 되며 입에 담지 못할 욕설로 매도했다.

임진 전쟁 때 나라를 구하는데 신명을 바친 한음 이덕형과 오성 이항복 두 정승도 비운을 맞게 된다. 한음은 외딴 산속에서 외롭게 지내다 돌연사 했으며 중풍에 걸린 이항복은 북청으로 귀양을 가게 된다. 하늘이 무섭지 않은 이이첨 등의 만행에 백성들은 분노하게 된다.

광해군은 영창대군을 강화에 보내 불태워 죽이고 계모인 인목대비를 폐출 시킨다. 선조임금과 함께 임진전쟁의 국난 극복에 공을 세운 원로대신들이 한을 품고 죽어갔다. 간신들은 권력을 지키기 위해 반대 세력이면 모두 제거하는 악수를 두고 말았다. 이들은 정적들을 무자비하게 축출 유배시키면 백년간 권력을 누릴 줄 알았다. 그러나 이들의 폭거를 백성들은 용납지 않았다.

광해는 어머니를 폐출시킨 무도한 임금으로 백성들로부터 규탄을 받았으며 분노한 사류들은 이이첨등을 간신으로 지목하고 궁중으로 쳐들어갔다. 반정의 주요 이유는 ‘천륜을 어긴 무도한 임금이었다’는 것이었다. 불과 300여명 밖에 안 되는 군사들이 궁을 포위 점령하고 광해를 체포했다니 대궐을 지키는 군사들도 반정에 가담했을 가능성이 크다.

민주당이 공무원들의 내란동조를 가리기 위해 휴대폰을 검열하고 국민들의 특정 국가 반대시위를 막는 법안을 만든다고 한다. 대한민국이 민주자유국가라는 것을 잊은 것인가.

미국 유력지 워싱턴 포스트가 최근 이재명 정부의 표현의 자유 훼손을 지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과유불급이라고 했다. 정부가 독재적 발상으로 국민의 반대의사를 억압하면 결국 화를 불러 온다는 것을 역사는 증명하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