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황해연 기자] 삼성전자가 반도체(DS)와 모바일·가전(DX) 양축을 중심으로 한 ‘투톱 경영체제’를 공고히 했다. 동시에 글로벌 석학과 소프트웨어 전문가를 핵심 연구조직에 전진 배치하며 기술 중심 경영을 더욱 가속한다.
삼성전자는 21일 사장 승진 1명, 위촉업무 조정 3명 등 총 4명이 포함된 ‘2026년 정기 사장단 인사’를 발표했다. 이번 인사는 경영 안정과 미래 기술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겨냥한 구성이라는 평가다.
올해 3월부터 8개월 동안 DX부문을 이끌어왔던 노태문 사장은 이번 인사로 정식 대표이사 겸 DX부문장에 올랐다. MX사업부장은 그대로 맡아 스마트폰·가전 사업의 실행력을 유지한다.
삼성전자는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 DX 사업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기존 겸직 구조를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반도체 사업을 총괄해온 전영현 부회장은 DS부문장과 메모리사업부장직을 그대로 유지한다. 그가 맡아왔던 삼성종합기술원(SAIT) 원장에는 박홍근 하버드대 석좌교수가 새롭게 합류한다. 박 사장은 화학·물리·전자 등 기초과학 전반에서 세계적 연구 성과를 축적한 인물로, 내년 1월 1일 삼성전자에 공식 합류한다. 향후 SAIT를 이끌며 양자컴퓨팅, 뉴로모픽 반도체 등 미래 디바이스 분야의 원천 기술 개발을 주도할 계획이다.
삼성벤처투자 대표이사였던 윤장현 부사장은 사장으로 승진해 DX부문 CTO 겸 삼성 리서치장을 맡는다. 윤 사장은 MX사업부에서 사물인터넷(IoT)·타이젠 개발, SW 플랫폼 등 핵심 SW 조직을 두루 거쳤으며, 벤처투자 대표로서는 AI·로봇·바이오·반도체 등 미래 기술 투자에 힘써왔다.
삼성전자는 윤 사장이 모바일·TV·가전 등 DX 주요 사업군과 AI·로봇 등 신기술 간 시너지를 강화하는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사 방향에 대해 “SAIT 원장과 DX CTO 등 핵심 연구 조직에 최고 전문가를 배치해 AI 중심 경영 전환을 가속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2인 각자 대표 체제를 복원해 경영 안정성과 미래 도전의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삼성전자는 이미 수시 인사로 두 명의 사장을 임명한 바 있다. 지난 3월에는 갤럭시 S25 개발을 이끈 최원준 부사장을 MX사업부 COO 사장으로, 4월에는 글로벌 브랜드 디자인 총괄 경험을 갖춘 마우로 포르치니를 DX부문 CDO 사장으로 선임했다.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연중 우수 인재를 즉시 발탁하는 수시 인사 체제를 유지할 계획이다.
아울러 부사장 이하 임원 인사와 조직 개편도 조만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