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상담 기능 도입
다국어 통합행정서비스 구축
이주민 정보격차 해소 기대

[천지일보 경기=김서정 기자] 경기도가 지난 18일 도 북부청사에서 ‘경기도 이주민 포털 구축 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도내 이주민이 언어와 문화의 장벽 없이 정책과 생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AI 기반 통합 온라인 플랫폼 개발을 본격화했다.
‘경기도 이주민 포털’은 약 81만 명에 달하는 도내 이주민의 정보 접근성 문제를 해소하고 안정적인 정착을 돕기 위한 디지털 행정 서비스 구축을 목표로 한다.
주요 기능은 ▲출입국·고용·교육·주거·의료·복지 등 주요 행정정보 통합 제공 ▲AI 챗봇 기반 다국어 질의응답 ▲이주민 커뮤니티 공간 운영 ▲유관기관과의 연계 정보 제공 등이다.
특히 전국 최초로 생성형 AI 기반 다국어 상담 기능을 도입해 체류, 노동, 생활 등 분야별 맞춤형 안내가 가능하다. 영어·중국어·베트남어·몽골어·러시아어·우즈베크어 등 6개 언어 전문 번역과 실시간 자동 번역 기능을 제공해 언어권별 정보격차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포털은 내년 상반기 서비스 개통을 목표로 6개월간 개발이 진행된다. 구축 이후에는 기관별로 분산된 이주민 정책과 사업 정보를 한곳에서 열람할 수 있어 행정 효율성과 정보 접근성이 함께 향상될 전망이다.
또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활용한 이주민 커뮤니티 기능을 통해 지역별 의료기관, 교육시설, 문화행사 등 생활 밀착형 지역 정보도 함께 제공된다.
허영길 경기도 이민사회정책과장은 “이주민 포털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디지털 생활안내 플랫폼’이 될 것”이라며 “AI 기반 맞춤형 정보 제공과 커뮤니티 운영을 통해 다문화 사회의 정보격차를 줄이고 이주민의 지역사회 참여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경기도 이민사회국, 경기도이민사회통합지원센터, 용역 수행업체 관계자, 도내 이주민 대표 등이 참석해 사업 방향과 세부 추진 계획을 공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