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직매립 금지 선제 대응
매립량 83%↓·운영비 26억 절감
광역 협력 에너지 자립 구축

강릉시청 전경. (제공: 강릉시청) ⓒ천지일보DB
강릉시청 전경. (제공: 강릉시청) ⓒ천지일보DB

[천지일보 강릉=김현진 기자] 강원 강릉시가 폐기물 처리의 패러다임을 바꾸며 환경과 경제를 동시에 살리는 ‘자원순환 선도도시’로 주목받고 있다.

시는 전국 최초 수준으로 폐기물 직매립 금지 시대에 선제 대응해 안정적 처리 기반과 에너지 자립형 구조를 완성, 지방 중대형 도시의 지속 가능한 모델을 제시했다.

강릉시는 지난 2021년 개정된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라 오는 2030년부터 비수도권 지역의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전면 금지됨에 대비해 2020년 11월 소각시설 신축 공사를 착공했다.

법 시행보다 7년 앞선 2023년 9월 준공 및 가동을 시작하며 제도 변화에 가장 먼저 대응한 사례로 꼽힌다.

이번 사업은 총사업비 759억원 규모로 추진됐다. 평창군과의 광역 협력 체계를 구축해 국비·도비 530억원을 확보함으로써 242억원의 예산 절감 효과를 거뒀다. 두 지자체가 함께 운영하는 이 시설은 ‘지역 상생형 자원순환 거버넌스’의 대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강릉 소각시설은 하루 190톤의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2기 병행 체제로 가동 이후 생활폐기물 매립량이 83% 이상 감소했다. 과거 100% 매립 구조에서 벗어나 현재는 소각재와 비가연성 폐기물 20톤만 매립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매립시설의 사용 가능 기간은 60년 이상으로 늘었으며 폐기물 관리 안정성과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또한 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열(餘熱)을 활용해 증기터빈 발전기를 가동, 2년간 총 4만 2578㎿h의 전력을 생산했다.

이 중 2만 8510㎿h를 판매해 약 35억원의 세입을 올렸으며 자체 소비 전력(연 7000㎿h)을 상쇄해 연간 26억원의 운영비 절감 효과를 냈다.

이는 단순 폐기물 처리시설을 넘어 ‘에너지 자립형 환경 인프라’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운영비 부담도 공동화로 줄였다. 평창군 분담금 10억원과 전력판매 수익 18억원을 제외하면 강릉시의 실질 부담은 34억원 수준으로 낮아졌다.

2024년 기준 타 지자체 대비 운영 효율성은 45% 이상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강릉시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생활자원회수센터 설치, 폐열 회수 효율화, 배출가스 저감 기술 고도화 등 자원순환 체계를 전면 강화할 방침이다.

시는 ‘폐기물이 곧 에너지’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아래 환경과 경제가 공존하는 지속 가능한 자원순환 도시 모델을 완성해 나간다는 목표다.

김홍규 시장은 “폐기물 소각시설의 안정적 운영을 통해 강릉시와 평창군의 폐기물이 친환경적으로 처리되도록 하겠다”며 “환경과 경제가 조화를 이루는 자원순환 경제도시를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키워드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