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박혜옥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4일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을 만나 “임기 내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조기 회복은 한미동맹이 한 단계 더 심화하고 발전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이 전작권 회복 시점을 ‘임기 내’로 명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 집무실에서 한·미 안보협의회의(SCM) 참석차 방한한 헤그세스 장관을 접견했다. 그는 “우리 군의 역량이 크게 강화돼 한반도 방어를 한국이 주도하게 되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방위 부담도 줄어들 것”이라며 “이러한 변화는 양국 모두에 이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전했다.
이 자리에서는 한반도 방위 역량 강화를 위한 원자력 추진 잠수함(원잠) 확보 문제도 논의됐다.
이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원잠 건조 지원 결정에 사의를 표하며 “원잠 확보는 한반도 방위 주도를 위한 우리 군의 역량을 크게 높이고, 한미동맹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헤그세스 장관은 “한국이 국방비를 증액하고 최첨단 재래식 전력 및 원잠 확보를 통해 국방력을 강화하려는 노력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이런 측면에서 한국은 가장 모범적인 동맹이며, 미국은 이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그는 또 “세계적 수준의 조선 능력을 갖춘 한국과의 협력 강화를 통해 선박 공동 생산 방안을 추진하기를 기대한다”며 “이러한 협력은 양국의 국방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헤그세스 장관의 취임 이후 첫 방한을 환영하며 “한미동맹을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심화·발전시키는 데 있어 장관의 역할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접견에는 미국 측에서 케빈 김 주한 대사 대리, 존 대니얼 케인 합참의장, 사무엘 파파로 인도·태평양사령관, 제이비어 브런슨 한미연합군사령관, 존 노 국방부 동아시아 부차관보 등이 참석했다.
우리 측에서는 안규백 국방부 장관, 진영승 합참의장, 김성민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김현종 안보1차장, 곽태신 국방비서관 등이 자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