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가격전망지수 122 ‘껑충’
잇단 정부 대책 ‘약발’ 안 먹혀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정부가 잇따라 부동산 안정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집값 상승 기대’는 오히려 4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22로 전월(112) 대비 10포인트(p) 급등했다. 이는 2021년 10월(125) 이후 4년 만의 최고치이자, 상승 폭으로는 2022년 4월(10p) 이후 가장 큰 폭이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현재보다 1년 후 집값이 오를 것이라고 보는 소비자 비중을 반영한 지표다. 지수가 100을 넘으면 상승을 예상하는 응답자가 하락을 예상하는 사람보다 많다는 의미다. 한은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가 확대되면서 소비자들의 가격 기대감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은 “조사 기간은 10월 14일부터 21일까지였는데 응답의 75%가 첫날인 14일에 집중됐다”며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효과가 이번 조사에 충분히 반영됐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올해 6월 주택가격전망지수가 120이었는데 이번 달엔 그보다 소폭 높은 수준으로 회복됐다”며 “소비자들의 집값 상승 기대가 다시 예전 수준으로 돌아온 셈”이라고 덧붙였다.
한은은 또 “소비자들은 실제 부동산 시장 움직임을 바탕으로 심리를 형성하는 경향이 강하다”며 “향후 정책 효과가 본격 반영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전체 소비심리를 보여주는 10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9.8로, 전월(110.1)보다 0.3p 하락했다. 이는 한미 무역 협상 장기화와 미·중 무역 갈등 재부각 등 글로벌 불확실성 요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CCSI는 ▲현재생활형편 ▲생활형편전망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현재경기판단 ▲향후경기전망 등 6개 지수를 종합해 산출한다. 지수가 100을 넘으면 장기평균 대비 낙관적, 100 미만이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이번 조사에서는 향후경기전망지수(94)가 전월보다 3p 하락했으며, 현재생활형편(96), 생활형편전망(100), 가계수입전망(102), 소비지출전망(110), 현재경기판단(91)은 변동이 없었다.
금리수준전망지수는 95로 2p 상승했다. 최근 환율 불안과 부동산 가격 상승 우려로 인해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다소 약화된 결과로 해석된다. 기대인플레이션율(향후 1년간 물가 상승률 전망)은 2.6%로 전월보다 0.1%p 상승했다. 이번 조사는 10월 14일부터 21일까지 전국 25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