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 전북=김동현 기자] 전주와 완주 통합 논의가 수년째 제자리걸음을 하며 지역사회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통합을 역사 복원이자 성장 동력이라 보는 찬성 측과 자치권 침해·농촌 소외를 우려하는 반대 측의 주장이 정면으로 충돌했다.

토론회에서는 찬성 측이 생활권 일체와 주민투표 필요성을 강조하며 추진위 구성을 제안했다. 반면 반대 측은 인구·재정 격차를 지적하며 공식 여론조사 후 반대가 우세하면 논의를 종결해야 한다고 맞섰다.

주민 발언에서도 불신이 드러났다. 산업 유치 조건 제시는 협박으로 들릴 수 있다는 지적, 외곽 소외 심화 우려, 부동산 가격 영향에 대한 이견이 이어졌다. 내년 선거를 앞두고 공론화가 정치적 의도라는 의심도 나왔다.

전북도는 세금 폭탄·부채 전가·혐오시설 이전 등 ‘3대 폭탄설’을 조목조목 반박하며 갈등 차단에 나섰다. 행안부 장관이 참여한 6자 회담에서는 주민투표 필요성에 공감대가 형성됐다.

통합 논의는 답보 상태지만 “최종 결정권자는 주민”이라는 원칙이 재확인됐다. 역사와 성장, 자치와 소외라는 상반된 가치가 충돌하는 가운데 신뢰할 수 있는 공론 절차가 전북의 미래를 좌우할 분수령이 되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