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가맹 프렌차이즈 ‘쿠폰 특수’ 속 마트만 출혈경쟁
추석 전 2차 소비쿠폰 앞두고… 또 한번 형평성 논란 우려
![[천지일보=이시문 기자] 27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미국산 소고기를 고르고 있다. 미국의 상호 관세 협상 마감 시한을 앞두고 30개월 이상 소고기나 쌀 등 국내 농축산물 시장 개방이 대미 협상 테이블에 오른것으로 알려졌다. ⓒ천지일보 2025.07.27.](https://cdn.newscj.com/news/photo/202508/3301855_3375078_2058.jpg)
[천지일보=양효선 기자]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유통업계의 지형을 바꾸고 있다. 편의점과 프랜차이즈 가맹점, 전통시장 등 쿠폰 사용이 가능한 업종은 연일 특수를 누리고 있는 반면 정작 생필품을 주력으로 파는 대형마트는 ‘울며 겨자먹기’식 가격 인하에 나섰다. 소비쿠폰 사용 대상에서 제외된 대마트 업계는 손해를 감수하면서도 ‘쿠폰보다 더 싸게’며 원가 방어를 포기한 초저가 경쟁에 나섰다. 그러나 소비자의 발길은 여전히 돌아오지 않고 있다.
이마트는 지난 주말 국내산 삼겹살·목심을 카드 할인 적용 시 100g당 788원에, 홈플러스는 호주산 척아이롤을 990원에 내놓는 등 유례없는 저가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롯데마트는 생닭 8990원, 바나나 한 송이 3990원 등 특가 상품을 내세우며 대응 중이다. 초복 시즌에는 영계를 1500원대까지 내리는 ‘출혈 마케팅’을 펼친 바 있다.
소비쿠폰 혜택에서 소외된 대형마트 입장에서는 가격 인하 외에는 선택지가 없다는 게 현장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대형마트 관계자는 “지금은 가격이 전부인 시기”라며 “남는 게 없더라도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한 절박한 선택”이라고 토로했다.
반면 편의점 업계는 소비쿠폰의 최대 수혜처다. 전국 가맹점에서 사용이 가능해 매출이 폭등했다. GS25는 국탕찌개류가 337%, CU는 생수 44%, 이마트24는 소형가전 386%, 세븐일레븐은 반찬류가 80% 늘었다.
프랜차이즈도 활기를 되찾았다. 백종원 대표가 운영하는 ‘홍콩반점0410’은 짜장면을 3900원에 판매하며 ‘물가 역주행’ 캠페인에 동참했다. 소비쿠폰으로 결제 시 체감가는 더 낮아진다. 빽다방, 놀부, 교촌치킨, 파리바게뜨 등 주요 프랜차이즈도 할인전과 소비쿠폰을 병행하며 방문 고객을 빠르게 끌어모으고 있다. bhc는 쿠폰 첫 주말 매출이 25% 증가, BBQ는 20% 늘었고, 이디야와 빽다방도 각각 25%, 31%의 신장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쿠폰 사용처의 제한은 유통업계 내부의 불균형을 낳고 있다. 동일 브랜드 내에서도 직영점은 사용이 불가하고 가맹점만 가능해 소비자 혼란이 적지 않다. 스타벅스는 전 매장이 직영이라 쿠폰 사용이 불가하고 메가커피·이디야·맘스터치 등은 사용 가능하다. 올리브영은 전체 매장의 11%만 가능하다. 유통업계 안팎에서는 “형평성과 실효성을 함께 따져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한다.
정부는 오는 9월 22일부터 국민 90%에게 1인당 10만원의 2차 소비쿠폰을 지급할 계획이다. 추석 연휴 직전이라는 점에서 ‘대목 잡기’ 수단으로 기대되지만, 전문가들은 1차 때와 마찬가지로 ‘사용처 제한’과 ‘지급 분산’에 따른 효과 반감을 우려하고 있다.
실제 1차 쿠폰은 주민등록상 거주지에서만 사용 가능해 휴가철 여행 중인 국민은 혜택을 제대로 누리지 못했다. 지방경제 활성화를 위해선 오히려 외부 소비 유입을 유도했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부는 2차 지급을 앞두고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중심의 할인행사를 확대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한우 공급을 기존보다 1.3배 늘렸고 4~9일에는 전국 130개 전통시장에서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도 병행한다. 소비쿠폰과 중복 사용 시 최대 30% 이상의 체감 할인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제도 설계에 대한 회의적 시각은 여전하다. 업계 전문가는 “재정 투입이 소비를 단기적으로 끌어올리는 효과는 있지만 실질적인 소비 전환율은 낮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2020년 긴급재난지원금의 평균 소비 전환율은 26~36% 수준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이번에도 일회성 유동성 공급에 그칠 경우 실질적 자영업 회복이나 내수 확대에는 한계가 있다고 본다.
‘민생회복’이라는 이름 아래 쏟아붓는 예산이 시장에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선 더 정교한 설계가 필요하다. 단기 매출 상승보다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소비 혜택과 정책에 대한 신뢰가 뒷받침돼야 진짜 민생 회복이 가능하다.
- 창녕군 소비쿠폰 지급률 91.5%… 도내 군부 2위
- 담양군 ‘소비쿠폰 캠페인’ 지역 상권 활성화 나서
- CU, 소비쿠폰 특수에 ‘즉석밥 600원’ 등 생필품 할인 총력
- [그래픽] 민생회복 소비쿠폰 소상공인 업종별 매출 증가율
- 민생쿠폰 취지에 응답… 백종원, 짜장면 3900원 물가 역주행 선언
- 홈플러스, 제23회 e파란 어린이 환경그림대회 개최
- 지난해엔 벌써 절반 팔았다… 올해 ‘폭염·폭우’에 추석 장사 늦춰져
- [국회 라이브] “치킨 부스러기가 비행기 띄운다”… 폐기유 항공유, 수출까지 ‘일석삼조’
- 하나증권 “CJ, 올리브영 지분가치 저평가… 목표주가 19만원 상향”
- 편의점 4사, 추석 선물세트 판매 돌입… 3만원대 실속형부터 7500만원 위스키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