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K·현대차·LG·롯데 등 주요 기업 총수 한자리에
상법 개정·국내 투자 촉진·AI산업 전환 등 현안 논의 전망

[천지일보=홍보영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3일 오전 10시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요 대기업 총수들과 취임 후 첫 공식 회동을 갖는다. 이번 만남은 취임 9일 만의 첫 재계 공식 일정으로, 침체된 경제 회복을 위한 민관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번 회의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참석한다. 류진 한경협 회장, 손경식 한국경총 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등 주요 경제단체장들도 함께한다.
이 대통령은 최근 두 차례 긴급경제점검회의(TF)를 주재하며 추가경정예산 편성, 물가 대응 방안을 논의했고, 지난 11일에는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를 방문하는 등 연일 경제 행보에 집중하고 있다. 이번 기업인과의 만남도 이 같은 행보의 연장선으로 경제 현안 해결을 위한 직접 소통에 나선 것이다.
회의에서는 국내 투자 확대, 산업 전환, 상법 개정안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전망이다. 대통령은 국내 생산기지 유치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국내생산 장려 세제’ 도입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 정책은 국가 전략산업으로 분류된 제품을 국내에서 생산하고 판매할 경우 법인세를 최대 10년간 감면해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AI) 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 및 산업 전반의 AI 기반 구조 전환,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등 주요 산업단지의 전력 공급 대책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외적으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재집권 가능성에 따른 관세 정책 대응,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앞두고 주요국과의 양자 경제협의 준비를 위한 기업들의 애로사항 청취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상법 개정 문제에 대해서는 회의에서 언급 가능성이 있으나, 첫 회동인 만큼 개별 민감 사안보다는 경제 전반에 대한 논의가 중심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개정안은 이사회 감시 기능 강화, 독립이사 의무화, 감사위원 분리선출 확대, 집중투표제 도입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재계는 이에 대해 경영권 약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