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를 향한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적절한 대답을 내놓지 못하는 질문이 있어 이목을 끈다. 딥시크는 오픈AI의 o1에 버금가는 성능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사진은 28일 중국 수도 베이징의 한 사용자 휴대전화 화면에 딥시크 애플리케이션이 구동하는 모습. (출처:AP/뉴시스)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를 향한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적절한 대답을 내놓지 못하는 질문이 있어 이목을 끈다. 딥시크는 오픈AI의 o1에 버금가는 성능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사진은 28일 중국 수도 베이징의 한 사용자 휴대전화 화면에 딥시크 애플리케이션이 구동하는 모습. (출처:AP/뉴시스)

[천지일보=임혜지 기자] 보안 논란에 휩싸인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에 대해 국내를 포함한 여러 국가와 기업들이 정보 유출을 우려, 접속을 차단하고 나섰다.

반면 미국 오픈AI 등 글로벌 테크 기업들 사이에서 딥시크를 적극 도입하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저비용으로 경쟁력 있는 AI 모델을 개발해 업계에 쇼크를 준 딥시크는 AI 학습 과정에서 이용자 정보 등을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딥시크의 이용약관에 따르면 해당 기업은 사용자의 기본 정보뿐만 아니라 기기 정보,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키보드 입력 패턴 등을 수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이러한 정보가 중국 서버에 저장되며, 중국 국가정보법에 따라 중국 정부가 필요 시 이를 요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여러 국가와 기관에서 AI 보안 가이드라인을 강화하고 있으며 한국의 행정안전부와 국가정보원 등 외교 통상 분야 정부 부처들도 AI 서비스 사용과 관련한 보안 지침을 배포한 상태다.

더나아가 정부 부처 차원의 대응이 속속 이루어지고 있다.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는 보안 우려를 이유로 딥시크 사용을 전면 금지했으며, 한국수력원자력과 한전KPS도 내부 공지를 통해 원전 관련 주요 정보가 해외로 유출될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딥시크 이용을 유의하라는 지침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흐름은 민간 기업으로도 확산되고 있다. 카카오는 사내 공지를 통해 “정보 보안과 윤리 등 AI 안전성에 대한 완전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사내 업무 용도로 딥시크 사용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카카오에 이어 LG유플러스도 이동통신3사 중 처음으로 전날 사내 공지를 통해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기로 했다고 공지했다. 기업에서 사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필수 보안 기능 미지원으로 보안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이러한 조치는 한국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확대되고 있다. 호주, 대만, 미국 텍사스주 등 일부 국가는 정부 소유 기기에서 딥시크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 특히, 이탈리아는 개인정보 보호 기관인 ‘가란테(Garante)’를 통해 딥시크의 개인정보 처리 방식에 대한 정보를 요구한 데 이어, 애플과 구글 앱스토어에서 딥시크 다운로드를 차단하는 강력한 조치를 내렸다.

반면, 일부 글로벌 테크 기업들은 딥시크 도입을 확대하는 모습이다.

엔비디아는 자사의 AI 플랫폼인 ‘NIM 마이크로서비스’에서 딥시크의 R1 모델을 지원한다고 밝혔으며 마이크로소프트(MS)의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Azure)와 아마존웹서비스(AWS)도 R1 모델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AI 검색 플랫폼인 퍼플렉시티(Perplexity) 역시 딥시크를 채택했다.

AI 업계 관계자들은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오픈AI의 영향력을 견제하려는 시도라고 분석하고 있다. 딥시크가 AI 시장에서 새로운 경쟁자로 부상하면서 기존의 AI 생태계를 독점하던 오픈AI에 대항하기 위해 기업들이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는 것이다.

국내 AI 기업도 딥시크를 활용하기 시작했다. 뤼튼테크놀로지스는 최근 딥시크의 R1 모델을 탑재한 서비스를 출시하며 “딥시크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클라우드 환경에서 모델이 구동되기 때문에 이용자 데이터가 특정 국가로 유출되지 않으며 모델 학습에도 이용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