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공공 인허가 66% 증가
서울 주택 매매 5개월째 감소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주택 공급 부족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지난해 전체 주택 인허가 물량이 전년과 비슷한 42만 8244가구를 기록했다. 다만 민간부문 인허가는 15% 가까이 감소했고, 공공부문 인허가는 66% 이상 증가하며 전체 공급을 떠받쳤다.
국토교통부가 5일 발표한 ‘2024년 1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2월 주택 인허가 물량은 42만 8244가구로 전년보다 0.1%(500가구) 감소했다. 이는 2018∼2022년 5년 평균치(51만 3천 가구)보다 8만 가구 이상 적은 수준이다.
지난해 인허가 물량이 유지된 것은 공공부문이 인허가를 대폭 늘린 덕분이다. 공공부문 인허가는 2023년 7만 7891가구에서 지난해 12만 9047가구로 65.7% 증가했다. 반면 민간부문 인허가는 같은 기간 35만 853가구에서 29만 9197가구로 14.7% 감소했다.
지역별로 보면 지난해 수도권 인허가는 21만 2776가구로 전년 대비 16.7% 증가했으나, 비수도권 인허가는 17만 8147가구로 8.8% 줄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인허가가 39만 923가구로 3.5% 늘었으나, 비아파트(단독·다세대·연립 등) 인허가는 3만 7321가구로 전년 대비 27% 감소했다.
공공주택 확대는 정부의 정책 기조와 맞물려 있다. 정부는 공공주택 공급을 확대해 시장 안정을 꾀하고 있으며, 올해에도 역대 최대 규모인 25만 2천 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다만 민간 건설사의 주택 공급 감소가 계속될 경우 시장 불안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주택 착공 물량은 30만 5331가구로 전년(24만 2188가구)보다 26.1% 증가했다. 인허가와 마찬가지로 공공부문 착공이 크게 늘었다. 공공부문 착공 물량은 1만 7504가구에서 5만 5670가구로 3배 이상 증가한 반면, 민간부문 착공(24만 9661가구)은 11% 증가에 그쳤다.
특히 지난해 아파트 착공은 27만 1514가구로 전년 대비 36% 증가했다. 반면 비아파트 착공은 3만 3817가구로 20.6% 감소했다. 이는 공공주택 확대 정책의 영향으로, 민간 건설사들이 비아파트보다는 아파트 위주로 사업을 추진한 결과로 분석된다.
지난해 연간 분양은 23만 1048가구로 전년 대비 20.1% 증가했다. 수도권 분양은 12만 9346가구로 13.5%, 지방 분양은 10만 1702가구로 29.7% 각각 늘어났다. 수도권과 지방 모두 분양 물량이 증가했지만, 지방의 증가 폭이 더 컸다.
지난해 연간 준공(입주) 물량은 44만 9835가구로 전년보다 3.2% 증가했다. 아파트가 40만 7534가구로 전체 준공 물량의 90.1%를 차지했으며, 비아파트 준공은 4만 2301가구로 35.6% 감소했다.
한편 지난해 연간 주택 매매거래는 64만 2576건으로 전년보다 15.8% 증가했다. 하지만 월별로 보면 매매거래가 감소하는 추세다. 지난해 12월 전국 주택 매매거래는 4만 5921건으로 전월 대비 6.5% 줄었다.
특히 서울의 지난해 12월 주택 매매거래는 6444건으로 5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도 3656건으로 전월보다 3.1% 감소하며 두 달 연속 3천건대에 머물렀다. 이는 금리 인상, 대출 규제 등의 영향으로 매수 심리가 위축된 결과로 풀이된다.
전월세 시장에서는 월세 거래 비중이 늘어나는 모습이 뚜렷했다. 지난해 연간 전월세 거래량은 266만 2177건으로 전년보다 2% 감소했다. 하지만 월세 비중은 57.6%로 전년보다 2.7%p 증가했다. 집값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전세보다 월세를 선호하는 수요가 늘었고, 집주인들도 임대소득을 얻기 위해 월세 비중을 확대하는 경향을 보인 결과로 풀이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