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국제 개막작 선정되며 논란
개성 넘치는 캐릭터, 시선 끌어
스타일리시한 액션에 몰입 높아

[천지일보=이예진 기자] 이 영화의 아쉬움은 극장에서 보지 못한다는 점이다. 확실한 캐릭터성과 설득력 있는 서사, 단순한 오락 액션 영화를 넘어 사회적 메시지까지 담은 이 영화는 바로 넷플릭스 ‘전,란’이다.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되는 ‘전,란’은 박찬욱 감독이 제작과 각본에 참여한 영화다. 그리고 배우 강동원, 박정민, 김신록, 진선규, 정성일, 차승원 등 캐스팅 라인업도 화려해 시선을 끈다.
하지만 넷플릭스 영화 ‘전,란’은 공개 전부터 논란이 됐다. 바로 얼마 전에 개최됐던 제29회 부산국제영화제에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작품 중에서 최초로 개막작으로 선정됐기 때문이다. OTT 영화가 부산국제영화제의 개막작으로 선정되는 것이 적합한가에 대한 이 논란은 영화 공개와 함께 사라졌다. ‘전,란’은 OTT 개봉이 아쉬울 만큼 영화적으로 훌륭했기 때문이다.
‘전,란’은 먼저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한 사극 영화로 정여립 모반사건으로 시작된다. ‘양반이든 평민이든 평등하게’ 군사훈련을 받던 대동계가 발각되면서 정여립은 추포 과정에서 사망하게 되고 선조(차승원)는 직접 잔당들의 추국장에 나서면서 왕권의 위엄을 드러낸다.
하지만 영화가 진행되면서 선조의 행동은 전혀 왕권의 위엄이 보이지 않는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선조는 경복궁과 백성들을 놔두고 피난을 갔으며 피난길 중에서도 반찬 투정을 부리는 등 눈살을 찌푸리게 만든다. 지독히 이기적인 선조를 그대로 만들어낸 차승원의 연기에 최근에 방영되고 있는 ‘삼시세끼 라이트’에서의 모습은 전혀 생각나지 않을 정도다.
영화가 정여립 모반사건으로 시작하는 이유는 사회의 기둥인 신분제가 썩어가고 있었기 때문이다. 점점 가난해지는 양민들은 양반들의 돈을 갚지 못해 천민이 되고 ‘일천즉천’의 원칙으로 신분이 대물림되는 천자수모법때문에 자식까지 천민이 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강동원이 맡은 천영은 그렇게 천민이 돼 종려(박정민) 집으로 가게 된다.
종려의 집안은 가문 대대로 이름을 날린 무관을 배출해낸 가문이다. 종려 역시 무관이 되기 위해 검술 수련을 하지만 천생 마음이 여린 그는 쉽지 않다. 이에 그의 아비는 아들의 종아리를 때리지 않고 종려를 대신한 노비를 선택해 회초리를 든다. 무자비한 회초리질에 노비들은 쓰러져가고 집에 갓 들어온 천영이 그 역할을 맡게 된다.
하지만 천영은 검술에 타고난 천재성을 보이며 밤에 종려를 훈련시켜 회초리 맞는 일을 줄어들게 만든다. 종려는 천영을 노비가 아닌 친구로 생각하며 마음을 준다. 어른이 된 종려는 매번 무과 시험에 도전하지만 낙방을 한다. 천영은 양민이 되기 위해 종려의 아버지와의 약속을 통해 대신 과거 시험을 쳐 천영을 무과 장원을 만들지만 결국 양민이 되지 못한다.
이후 천영은 매번 집에서 도망치고 잡혀 오는 상황 속에 임진왜란이 발발한다. 종려는 선조의 피난 행렬을 지키는 임무를 맡아 떠나게 되고 전쟁 속 종려의 집안은 노비들의 반란으로 풍비박산이 난다. 이를 들은 종려는 누구 하나 베지 못하던 여린 도련님에서 집안을 몰살시킨 백성과 천영에 대한 분노의 칼잡이로 변한다.
이처럼 작품의 중심이 되는 천영과 종려의 관계와 함께 영화는 각기 다른 캐릭터들의 맛도 살린다. 천민에 여성 출신이지만 뛰어난 리더십과 전투력을 가진 범동(김신록), 나라를 구하기 위해 백성들과 손을 맞잡고 왜군들과 싸움에도 유교의 덕을 버리지 않은 양반 김자령(진선규), 사무라이의 정신으로 무장하고 조선을 쳐들어온 겐신(정성일)까지 영화는 어느 캐릭터 하나 버리는 구석이 없다.
그리고 이러한 개성 넘치는 캐릭터들과 함께 액션 영화임을 드러내듯 화려한 액션까지 가미한다. 여린 도련님에서 분노가 가득한 칼잡이로 변신하는 종려의 변화부터 ‘청의 검신’이라 불리게 된 천영과 일본군 겐신의 전투, 각기 다른 무기로 싸우는 의병들의 액션 등은 이 영화가 액션 맛집임을 나타낸다. 특히 극의 하이라이트인 천영, 종려, 겐신의 3인 전투신은 숨죽이고 볼 만큼 화려하면서도 긴장감을 자아낸다.
이번 작품의 연출을 맡은 김상만 감독은 “인물들이 칼을 다루는 방식과 사용하고 있는 무기 자체에 차이를 주고 싶었다”고 의도를 전하며 “천영의 검은 어느 방향으로 날아들지 모르는 수직적인 움직임을 보인다면 종려는 머리 위에서 회전하는 가로형 공격이 특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겐신은 일본 검술 특유의 절도 있는 방식의 발검과 자세를 보여주려고 노력했다”며 캐릭터마다 각자의 액션으로 작품을 더욱 스타일리시하게 풀어냈다.
이처럼 넷플릭스 영화 ‘전,란’은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논란으로 시작됐으나 공개 후 호평으로 마무리됐다. 박찬욱 감독 특유의 블랙코미디가 돋보이면서도 김상만 감독의 의도대로 연출된 스타일리시한 액션, 배우들의 열연까지 더해진 ‘전,란’은 11일 공개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