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외대 전경. (제공: 한국외대)
한국외대 전경. (제공: 한국외대)

[천지일보=홍보영 기자] 한국외대는 2025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총 2086명을 선발한다. 전형별로 학교장추천전형 375명, 학생부종합전형(면접형) 488명, 학생부종합전형(SW인재) 34명, 학생부종합전형(서류형) 525명, 기회균형전형 191명, 논술전형 473명을 모집한다. 모든 전형은 중복지원 가능하나, 기회균형전형은 별도의 지원 자격을 충족해야 한다.

한국외대는 2025학년도 무전공 선발에서 유형1, 유형2로 총 835명을 선발한다. 이는 지난해 무전공 선발인원 116명에서 719명이 증가한 규모이다.

학생부종합전형 SW인재는 지난해 1단계 서류평가 100%로 면접대상자를 3배수 선발해 1단계 서류평가 50%와 2단계 면접 평가 50%를 합산하였던 것에 비해, 2025학년도의 경우 면접 없이 서류평가 100%만으로 합격자를 선발한다. 이로써 한국외대 학생부종합전형에서 2단계 면접 평가를 실시하는 전형은 면접형이 유일하다.

논술전형은 전형 방법이 변경돼 논술고사 반영 비중이 지난해 80%에서 올해 100%로 늘어났다. 논술고사 비중이 커진 만큼 학생부교과는 올해부터 반영하지 않는다.

논술전형에서 글로벌캠퍼스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신설돼, 서울캠퍼스와 글로벌캠퍼스 모두에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적용된다.

지난해 서울캠퍼스 평균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률은 36.8%였다. 결시율까지 포함하면 실질경쟁률은 더 낮아진다. 지난해 글로벌캠퍼스는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았지만, 결시율이 약 19%라는 점을 고려할 때 논술전형에서는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 여부와 시험 응시 여부가 합격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한다면, 논술고사 유형을 미리 파악해 철저한 대비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외대 논술고사는 모집 단위에 따라 인문계, 사회계, 자연계로 문제유형이 나뉘며, 고사 시간은 모두 90분이다. 논술가이드북을 통해 기출문제를 확인하고, 문제유형별 특징을 미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