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유영선 기자] 국내 10대 그룹 상장사의 인건비 비중이 매출의 8% 수준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침체로 대기업의 매출이 감소하면서 이 같은 결과 나왔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9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2014회계연도 감사보고서 기준 자산 상위 19대 그룹 소속 상장사의 인건비 총액은 60조 9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조 7000억원(6.6%)이 증가했다. 인건비는 연간 지급한 급여, 상여금, 퇴직급여, 복리후생비 등을 합친 것이다.
10대 그룹 상장사의 인건비가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3년 7.6%에서 작년에 8.0%로 1년 사이에 0.4%포인트 높아졌다. 반면 10대 그룹 상장사 매출은 751조원에서 756조 7000억원으로 0.8% 늘어나는 데 그쳤다.
그룹별로 보면 한진그룹을 제외한 9개 그룹 상장사의 인건비 총액이 1년 전보다 늘어났다.
삼성그룹 상장사의 인건비는 21조 5000억원으로 1조원 늘었다.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8.4%로, 0.6%포인트 높아졌다.
현대차그룹의 인건비는 1년간 8000억원(6.6%) 증가한 14조원이었다. 매출 대비 인건비 비중은 10%로 10대 그룹 중 가장 높았다.
현대중공업그룹의 인건비 비중은 8.5%에 달했다. 한화그룹의 인건비 비중도 6.4%로 소폭 높아졌다. LG그룹의 경우 매출은 1.0% 감소했지만, 인건비는 9.3% 증가했다. 인건비 비중은 0.8%포인트 높아진 8.7%를 나타냈다.
10대 그룹 소속 주요 계열 상장사의 인건비 비중은 현대자동차가 14.4%로 가장 높았다. 또 대한항공 14.3%, 기아차 13.7%, SK하이닉스 12.0%, LG전자 11.0%, 삼성중공업 10.1% 등이 뒤를 이었다.
인건비 규모가 가장 큰 삼성전자의 매출은 13% 감소한 137조 8000억원이었지만, 인건비는 3.5% 증가한 11조 7000억원이었다. 인건비 비중은 1.3%포인트 상승한 8.5%를 기록했다.
LG디스플레이는 매출 대비 인건비 비중이 10.2%로 1년간 1.7%포인트나 뛰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 한화그룹, 원효대교 남단 하부에 불꽃계단 조성
- 올 들어 10대 그룹 시가총액 9%↓… 포스코 29%↓
- 10대 그룹, 5년간 M&A 100곳 육박… 롯데 19곳 ‘최다’
- 10대 그룹 상반기 ‘불황의 터널’… 실적 20%↓
- 10대 그룹 정규직 9000명 증가… 전년比 1.4%↑
- 10대 그룹 시총 7개월 새 40조 감소
- 10대그룹 상장사 5곳 중 1곳, 외국인 지분이 오너가보다 높아
- 한진그룹, 청년 실업 문제 해결 앞장… 하반기 1000명 채용
- 대한항공, 러시아서 ‘비지니스 여행객 최고 외국항공사’ 2위 선정
- 10대 그룹 총수들 5년간 받은 배당금 1조 5000억 육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