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지배구조 개선 TF팀 발족은 지난 11일 대국민 사과문 발표 이후 롯데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우려하는 점을 과감하게 개혁하고 바꿔 나가겠다고 약속한 신동빈 회장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최근의 사태가 그룹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지배구조 개선과 경영투명성 강화에 좀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 못해 벌어진 일이라는 자성을 바탕으로 했다.
롯데그룹에 따르면 지배구조 개선 TF팀은 롯데정책본부 지원실장인 이봉철 부사장을 팀장으로 하고 그룹 및 계열사 재무담당 임원, 법무담당 임원 등 내부 임직원 20여명이 실무를 담당한다.
외부기관인 삼일회계법인, 김&장, 율촌 등은 자문과 감리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중점추진과제는 호텔롯데 IPO, 순환출자 해소, 지주회사 전환, 경영투명성 제고 등 총 4가지다.
호텔롯데는 IPO를 위해 지난 8월 19일 제안요청서를 발송했으며 오는 9월 주관사를 선정한 뒤, 관련 이사회 및 주주총회 개최를 통해 정관 개정 작업 등 본격적인 상장 추진 작업에 착수한다.
이를 위해 증권거래소가 지정한 외부 회계법인, 법무법인과 연계해 상장시기, 적정 공모가 검토 등 호텔롯데 상장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협의해 나갈 것이다.
또한 호텔롯데는 상장 이전이라도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 도입 등을 통해 경영투명성 강화를 선제적으로 실행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416개의 순환출자 고리를 끊는 작업을 시작한다. 8월 말 착수해서 11월 말까지 장내·외 매매를 통해 340여개의 순환출자 고리를 단절시켜 현재 남아 있는 순환출자의 80% 이상을 해소할 예정이다.
동시에 내외부 전문가와 함께 순환출자 고리의 완전 해소를 위한 지주회사 전환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해 경영 투명성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지주회사 전환은 중간금융지주회사 허용 여부에 따라 재원 및 시기가 유동적이나 81개 계열사의 순환출자 고리를 완전 해소해 지주회사로 전환하는 데에는 최대 7조원의 재원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경영투명성 제고를 위해 일정 자산 규모 이상의 비상장사에도 사외이사, 감사제도 등 상장사에 준하는 제도를 도입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연말까지 내외부 전문가 영입 등 인선 작업을 추진하고 내년 초에는 구체적으로 실행할 예정이다.
신동빈 회장은 “이번 TF팀 구성은 롯데그룹의 경영투명성 강화를 위한 변화와 혁신의 첫걸음”이라며 “겸허한 마음으로 착실히 준비해 롯데를 사랑해 주시는 국민 여러분의 신뢰와 기대를 회복해 나가는 계기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 신동빈, 말레이시아 합성고무 준공식 참석… 국내외 ‘현장경영’ 박차
- 10대 그룹, 5년간 M&A 100곳 육박… 롯데 19곳 ‘최다’
- 롯데, 공정위 자료 요구에 4차례나 외면
- 롯데 신동주, 공정위 제출 자료에 개인 정보 공개 거부
- 귀국한 신동빈, 다시 현장으로… 대산공장 방문
- 롯데 ‘알짜’ 계열사들 연쇄 상장 추진한다
- 호텔롯데, 기업공개 위한 주관사 선정 착수
- ‘원 롯데’ 신동빈, 넘어야 할 큰산 ‘지배구조 개선’
- 롯데, 내년부터 전 계열사 ‘임금피크제·정년 60세’ 도입
- 인도 방문 신동빈 회장, 모디 총리 만나 복합역사개발 제안
- 롯데, 장애인 자립 응원하고 워킹맘 힐링의 시간 보장한다
- 그룹 ‘지배구조 개선’ 선봉에 선 신동빈 회장
- 롯데그룹 ‘2015 마케팅 포럼’ 개최… 신동빈 회장 참석
- 롯데, 하반기 신입·인턴 1400명 신규 채용
- 롯데, 中 상해 최대 관광회사와 협력… ‘요우커 유치’ 총력
- 호텔롯데, IPO 주관사 선정 마무리
- 신동빈 회장, 호텔롯데 공동 대표이사 선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