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공개입찰 결전의 날 
삼성-현대車 2파전 유력

[천지일보=손성환 기자] 서울 강남구 삼성동 옛 서울의료원 부지 매각을 위한 공개입찰이 24일 예정된 가운데 유력한 인수 후보로 삼성과 현대자동차가 꼽히고 있다.

공개 입찰을 앞둔 23일 업계에서는 지난해 삼성동 한국전력 부지를 놓고 경합을 벌였던 삼성과 현대차의 2파전이 될 것이라고 관측하고 있다.

서울의료원 부지는 토지 3만 1543.9㎡와 건물 9개동(전체면적 2만 7743.63㎡) 규모이다. 매각 예정가격은 9725억원(감정평가기관)으로 약 1조원에 육박한다. 이에 재계 1·2위인 삼성과 현대차 외에는 경쟁에 참여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더구나 삼성이나 현대차 모두 서울의료원 부지 인근에 토지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라서 ‘삼성 타운’ 또는 ‘현대 타운’을 형성할 수 있어 두 그룹이 입찰에 참여할 가능성은 높다.

먼저 삼성그룹은 입찰 참여 여부를 두고 내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공식적인 언급은 자제하고 있지만 입찰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업계에서는 내다보고 있다.

삼성은 지난 2011년 옛 한국감정원 부지 1만여㎡를 인수했다. 이는 이번 입찰 부지인 옛 서울의료원 터와 가까이 있어, 이를 확보할 경우 총 4만 4531㎡의 땅을 개발해 ‘삼성 타운’을 형성할 수 있다.

현대차도 마찬가지 입장이다. 10조원이라는 거액으로 삼성동 한전 부지를 사들인 현대차는 지상 115층(높이 571m) 건물에 현대차그룹 본사 사옥과 함께 전시컨벤션 등 복합문화단지인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GBC)’를 세우겠다는 비전을 갖고 있다.

현대차가 만약 옛 서울의료원 부지까지 확보한다면 잠실 제2롯데월드 타워동(555m)보다 더 높은 빌딩과 더불어, 자동차 복합문화단지가 조성된 ‘현대 타운’을 이룰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꿈이 확실히 이뤄지는 것이다.

다만 지난 한전부지 매입 때 과도한 액수를 투자했다는 지적을 받아 곤욕을 치른 바 있어 신중을 가하는 분위기다. 또 최근 현대차가 글로벌 경기 악화와 중국 실적 하락 등의 악재도 있어 입찰 막판까지 고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 측은 현재 실무 검토를 하고 있으나 최종 입찰 참여 여부는 알 수 없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