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두교 메이테이족 폭력사태
“미국 등 국제사회 개입해야”

인도 동북부 마니푸르주에서 발생한 부족 간 충돌로 대피한 주민들이 지난 군사주둔지역 내 임시보호소에 모여 있다.(출처:연합뉴스)
인도 동북부 마니푸르주에서 발생한 부족 간 충돌로 대피한 주민들이 지난 군사주둔지역 내 임시보호소에 모여 있다.(출처:연합뉴스)

[천지일보=임혜지 기자] 인도 북동부 지방에서 힌두교도들과 기독교인 간의 충돌이 한 달 넘게 이어지면서 피해가 커지고 있다. 27일(현지시간) 기준 남녀 어린이를 포함한 최소 90명이 사망하는 등 분쟁으로 수많은 이들이 목숨을 잃거나 피난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인도에서는 힌두 민족주의가 기승을 부리며 강경 힌두교도에 의한 기독교 등 소수종교에 대한 탄압이 심각한 상황이다. 종교계에서는 인도에서 발생하는 종교분쟁에 국제사회가 개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7일 크리스천포스트(CP)에 따르면 미국 ‘종교 자유를 위한 국가 위원회’ 의장과 ‘국제 종교 자유 대사’로 활동했던 샘 브라운 백 전 대사는 “인도의 소수종교인들이 생명을 위협하는 폭력에 직면해 있다”며 “국제사회는 인도 당국에 종교 폭력 사태를 해결할 것을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초 인도 마니푸르주 추라찬드푸르, 임팔 등에서 시작된 힌두교 공동체 메이테이족의 폭력 사태가 계속되면서 최소 98명 이상의 기독교 신자가 살해됐고 수만명의 신자가 피난길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폭력 사태가 내전으로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기독교 박해 감시기구인 영국 오픈도어에 따르면 유혈 사태가 있는 지역 생필품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으며 일부는 음식을 구하기 어렵고 학교도 폐쇄됐다. 오픈도어는 “힌두 극단주의자들이 갈등을 핑계로 교회 지도자들을 색출하고 전체 기독교 공동체를 힌두교로 개종시키려고 시도함에 따라 내전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현재 마니푸르주의 기독교인들이 겪는 탄압은 심각한 상황이다. 샘 브라운 대사는 “인명 피해와 부상은 물론이고 많은 교회가 약탈 당하고, 불에 타는 등 해체됐다”며 “수만명의 신자들이 집을 잃고 구호소에서 생활하는 인도주의적 위기까지 도래했다”고 말했다. 

인구의 80%가 힌두교도인 인도에서는 기독교 탄압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기독교인에 대한 박해를 사실상 인도 정부가 자행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2014년 취임한 뒤 인도 내 기독교 박해 신고 건은 눈에 띄게 늘었다. 2015년 연합기독교포럼(UCF)에서 접수된 기독교 박해 신고 건은 142건이었지만 2021년엔 486건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모디 정권은 2년 전 종교개종금지법을 입법했고, 현재 12개주가 이를 받아들였다. 기독교 전문가들은 “이 법의 핵심은 힌두교인의 개종을 불법이라며 금지한 것”이라며 사실상 기독교 탄압이라고 한목소리를 냈다. 

샘 브라운 대사는 “인도 정부는 종교적 극단주의자들의 폭력 행위를 가능하게 했고 예배할 권리를 사실상 없앴다”면서 “그러나 국제법은 종교를 선택하고 변경할 수 있는 기본권을 명확히 보장하고 있다”며 인도 국민의 종교의 자유를 강조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