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대검찰청 범죄분석 자료를 보면 2013년 한 해 적발된 범죄자 가운데 범행 당시 나이가 60대 이상인 사람은 14만 9957명으로 전체 범죄자의 7%를 차지했다. 특히 살인이나 강도, 방화 같은 강력범죄를 저지른 노인도 1699명으로 전체 강력범죄자의 6%에 달했다.
연도별 형법상 범죄자 가운데 60대 이상 비율은 2004년 3.3%, 2006년 4.4%, 2008년 4.9%, 2010년 6%, 2012년 6.6%, 2013년 7%로 10년 만에 2배로 늘어났다.
연령별로는 61∼70세가 11만 7354명으로 전체의 5.5%, 71세 이상이 3만 2603명으로 1.5%로 집계됐다.
반면 20~30세 범죄자 비율은 2004년 18.6%에서 2013년 14.9%로 감소했으며 31~40세는 25.3%에서 18.3%로 줄었다.
60대 이상 노년층은 범죄 피해자가 되는 비율도 늘었다. 2004년 61세 이상 범죄 피해자 비율은 6.5%였지만 2013년 9.2%로 증가했다.
범죄 가해자와 피해자의 노년층 비율이 늘어난 것은 고령화의 영향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04년 한국의 노령화지수는 44.1이었지만 2013년 83.3(추정치)으로 2배 가까이 늘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김민아 기자
mina8172@newscj.com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