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S23 미디어 브리핑
“기본기 잡고 완성도 높여”
“시장 반응 좋아… 성장 기대”

[천지일보 바르셀로나=손지하 기자] 최원준 삼성전자 MX사업부 개발실장(부사장)이 지난달 27일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3이 개최되는 스페인 바르셀로나 피라 그란 비아에서 갤럭시 S23 미디어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3.03.01.
[천지일보 바르셀로나=손지하 기자] 최원준 삼성전자 MX사업부 개발실장(부사장)이 지난달 27일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3이 개최되는 스페인 바르셀로나 피라 그란 비아에서 갤럭시 S23 미디어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3.03.01.

[천지일보 바르셀로나=손지하 기자] “폴더블은 우리가 연 시장이고 중국기업이 들어오면 시장이 넓어지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봅니다. 애플도 진출한다면 폴더블의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최원준 삼성전자 MX사업부 개발실장 겸 부사장)

삼성전자는 지난달 27일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3이 개최되는 스페인 바르셀로나 피라 그란 비아에서 갤럭시S23 미디어 브리핑을 진행했다.

최 부사장은 “갤럭시S23의 기획 의도는 ‘백 투 펀더먼털’이었다. 완성도를 높여 기본기를 잡자고 했다”며 “가장 중시했던 건 하트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최적화할지 고민했다”고 설명했다.

또 “스마트폰이 점점 복잡한 사용성을 요구하고 소비자 기대치 올라가고 있다. 사용 시나리오 중 가장 중요한 게 개인화라고 생각했다. 스마트폰 시나리오가 복잡해지고 매일 사용하기 때문에 강력한 성능, 다양한 게임들을 최대한 오랫동안 즐기게 하기 위해 배터리도 높였다”고 말했다.

이어 “스마트폰 개발 레이어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알고리즘·OS 네 가지다”라며 “S23은 이전 모델과 다른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이렇게 새로운 건 지난 몇 년간 준비했다. AI 기반의 시스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탑재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OS는 구글과 협력을 키워 OS를 어떻게 관리하고 계산해야 최적화될지 논의했다. (구글과) 더 밀접한 협력 관계가 됐다”고 부연했다.

또한 “레이어 위에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서드 파티의 앱까지 이 4가지가 결합돼 S23가 소비자에게 강력한 성능의 기기 제공하게 됐다”고 했다.

삼성전자는 ‘게이밍 퍼포먼스’를 올리기 위해 렌더링, CPU, 지속성 등등 강력한 하드웨어를 만들었다. 최 부사장은 “성능이 좋아지면 발열이 일어날 수 있어 방열 설계도 중요하다”며 “베이퍼챔퍼라는 소재 자체를 확장해 쿨링 설계도 전작 대비 강력하게 했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이날 진행된 일문일답이다.

-GOS 논란 탈피에 대한 소감은

GOS는 사실 예전에도 갤럭시에서 게임을 잘 즐길 수 있도록 했던 게 GOS였다. 간과했던 건 소비자 니즈가 다양한데 한 방향으로 만든 게 미진했던 거 같다. 갤럭시S22 출시 이후 성능 위주 이용자를 위해 성능 우선모드를 내보였다. AP 하나만 좋아져서만 아니다. 가장 기반이 되긴 하지만 더 중요한 건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결합해 최적화하는게 중요하다. 퀄컴과 협력도 열심히 했고 OS단에서의 협력, 게임 개발사들과의 협력, 다양한 에코시스템과 협력 키워 소프트웨어를 최적화해서 달성했다.

-AP 등 게이밍 성능 어필됐는데 퀄컴 제품 덕 아닌가

AP의 경우 솔루션팀을 만들기도 했다. AP가 스마트폰에서 중요한 부품 중에서도 중요하다. 우리 기기 가치를 올릴 수 있다. AP 안에 보면 다양한 프로세서, 블락들이 있는데 칩셋 업체들이 잘하는 부분을 협력 공고히 해서 개선했다. 갤럭시 기기, 사용 시나리오, 솔루션을 더 최적화할 수 있는 솔루션을 MX사업에서 담당해서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

-MWC에서 중국 업체 단말기 봤을 것이다. 차별성은 무엇이고 엑시노스는 뭐가 다른가

퀄컴 AP는 중국도 탑재하니 AP 하나로 차별화가 되지 않는다. 주요 부품 중 하나다.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에코시스템으로 나눠 말하겠다. 하드웨어는 혁신을 지속적으로 해왔다. 하드웨어적 혁신들은 안드로이드뿐만 아니라 차별화 포인트다. 에코시스템에서도 칩셋 업체는 물론 구글과 협력을 통해 안드로이드 차별화를 선도했다. 워치만 해도 구글과 함께 웨어 OS 만들었듯 노트·PC 등은 심리스하게 연결되는 그런 차별화 전략을 구상했다.

-갤럭시S23 판매 실적은

지난 언팩 때 S23 매우 준비를 많이 했고 초기 피드백은 나름대로 긍정적이고 실적도 좋다. 조심스럽지만 미디어나 인플루언서에서 S23을 통해 여러 시험을 하고 있는데 카메라, 성능, 사용시간 측면에서 긍정적이다. 소비자들이 써봐서 실질적으로 개선들이 있고 이런 점을 느끼는 게 중요하다. 입소문도 나고 있어 현재까지는 긍정적이다. 실적은 두자릿수 성장이 목표다. 현재 달성까지는 긍정적으로 본다.

-중국기업이 폴더블폰 모방했던데 반격 전략은

중국 폴더블은 우리가 2019년 처음 카테고리를 만들었다. 폴더블 최적화 OS, 앱 등 산업을 리딩해 왔다. 중국이 제품을 내고 있는 것 자체만으로도 웰컴이다. 시장이 커질 수 있어서다. 폴더블 대중화되고 여기에 삼성전자가 핵심이 될 수 있도록 준비를 잘 하도록 하겠다.

-애플 폴더블 출시도 반기나. 이형 폴드 출시설은 무엇인가

애플이 진출한다면 환영한다. 우리가 연 폴더블의 가치를 중국뿐 아니라 애플도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폴더블의 기술 혁신을 앞으로도 진행할 것이기 때문에 긍정적인 부분이다. 이형 폴드 출시설은 사실이 아니다.

-기기적 완성도 높이면서 사실 디자인부터 큰 변화는 없었다. 앞으로 폴더블과 S시리즈의 전략은 어떤 건지

처음 제품을 낼 때마다 완성도를 최대한 끌어올리려고 한다. 차기작에 대한 변화? 우리는 변화를 위한 변화를 추구하진 않는다. 디자인이 중요한 게 아니라 소비자 만족도가 높은 디자인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하드웨어도 마찬가지다. 디스플레이가 현재 소비자 불만이 뭔지 보고 페인포인트를 제대로 해결할 수 있는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 달라졌는지 몰랐는데 경험해보니 좋다 이런 느낌으로 제품 개발을 하려고 한다.

-AP 선정 변화의 이유는

칩셋 어떤 것 사용하느냐는 단말기 성능 끌어올리는 것에 초점을 뒀다. 엑시노스냐, 스냅이냐 꼭 이런 건 아니다. 매번 기기 개발하는 과정에서 여러 옵션 평가하고 선정하겠다.

-디자인에 대해서는

불필요한 디자인 요소들 제거하고자 했다. 울트라와 플러스 등과 연관성을 높이고자 했다. 정제된 디자인을 추구하며 디자인 과정에서 모양, 배젤, 안테나 성능이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카메라 성능을 올리다보니 ‘카툭튀(카메라 툭 튀어나온)’ 최소화에 대한 도전도 있었다. 디자인을 최우선으로 개발하겠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