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자체 간 경쟁도 가열… 상징성·인프라 장점 부각
“일개 도시 일 아냐, 중앙정부가 컨트롤타워 돼야”
[천지일보=임문식, 장수경 기자] 대한민국 유엔 제5사무국 유치론이 탄력을 받는 모양새다. 정치권 일각에서 우리나라의 유엔 사무국 유치를 공론화하고 나선 가운데 일부 지자체와 단체가 유치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히면서 유치론의 열기가 고조되고 있는 것.
현재 유엔 제5사무국 유치에 적극적인 의욕을 보이는 지자체는 고양시와 파주시 등이다. 이들 시는 자기 지역의 상징성이나 인프라 등을 최대한 부각하면서 유치 당위론을 펴고 있다.
파주시는 지난해부터 경기도와 함께 유엔 제5사무국의 비무장지대(DMZ) 유치를 준비해 왔다. 파주시 관계자는 “우리 지역은 분단의 상징성이 큰 지역”이라며 “유엔 사무국 유치는 하나의 도시를 만드는 것으로 우리에겐 언제든 개발 가능한 토지가 있고, 비용 면에서도 다른 지역보다 훨씬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도 “유엔 사무국 유치는 아직 국제적으로 논의된 바도 없고, 우리 정부에서도 논의가 되지 않은 상태여서 잘못하면 시민이 오해할 수 있다”며 “우리 시는 지난해 ‘유치를 희망한다’고 선언한 바 있는데, 구체적으로 더 논의가 된다면 적극적으로 (유치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양시도 파주시에 이어 본격적인 유치 행보에 나섰다. 지난 5일 ‘제5유엔사무국 대한민국 유치를 위한 고양시민 범시민 추진위원회’ 발대식을 갖고 유치전에 뛰어 들었다. 추진위는 유엔 본부를 직접 방문해 유엔 제5사무국 한국 유치의 당위성을 설명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공동위원장인 선재길 고양시의회 의장은 “고양시는 남북이 인접한 평화의 도시”라며 “평화라는 타이틀을 놓고 볼 때 대한민국 중에서 고양시가 지리적으로나 환경적으로 적지”라고 주장했다.
앞서 새누리당 김을동 의원은 지난달 22일 유엔 사무국의 한국 유치에 협조해 달라는 내용의 서한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에게 보냈다. 김 의원은 서한에서 우리나라의 평화를 담보할 수 있는 실효적 방법이 유엔 제5사무국의 한반도 설치라는 점을 강조했다. 김 의원은 같은 취지의 서한을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에게도 보낸 바 있다.
세계 안보와 인권, 식량, 보건 등 국제적 이슈를 논의하기 위한 유엔 사무국은 뉴욕, 스위스 제네바, 오스트리아 빈, 케냐 나이로비 등 4곳에 있다. 아시아 지역에선 단 한 개의 사무국도 없다. 이를 우리나라에 유치할 경우 연간 수십만명의 고용창출 효과는 물론 국제적 위상 제고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유엔 사무국 유치를 현실화하기 위해선 중앙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반도에 UN본부 유치를 주장해 왔던 성대석 한국언론인협회 회장은 “유엔 사무국 유치는 일개 도시의 일이 아니고 국가적인 일”이라며 “중앙 정부가 컨트롤타워가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