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맥락에서 정부는 올해 광복·분단 70주년의 의미를 충분히 살려야 한다. 교착상태에 빠진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특히 6~8월을 주목해야 한다. 6.15 남북공동행사와 8.15 남북공동행사 등 남북 민간이 참여하는 행사가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민간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남북 당국 간 대화의 다리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남북은 이들 행사를 통해 관계 개선의 기회로 삼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북한이 최근 대남비방의 수위를 높이는 것은 우려스럽다. 북한은 모든 매체를 동원해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원색적인 표현을 써가며 인신공격성 비난에 나섰다. 이는 박 대통령이 북한에 대한 고강도 발언을 하는 것과 무관치 않다. 남북이 긴장관계를 이어갈수록 관계 개선은 더욱 요원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북한은 대남비방의 수위를 높이는 것이 결코 이득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
우리 정부는 확고한 원칙을 견지하면서도 유연성을 발휘해야 한다. 시간은 결코 우리 편이 아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남북은 경색 국면을 탈피하기가 어렵다. 정부는 비공개 접촉 등을 통해서라도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들일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대화를 해야 할 당사자인 남북이 대화의 장으로 나오지 않는 이상 그 누구도 관계 개선을 위해 발 벗고 나서지 않는다. 나아가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5.24대북제재 조치를 해제해야 한다는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