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질병관리본부가 내놓은 ‘여성의 건강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환경적 요인 분석’ 논문에 따르면 여성은 남성보다 사회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아 건강수명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온전히 건강한 상태로 살아갈 수 있는 평균 년수를 의미하는 건강수명은 평균 생존 기간을 의미하는 기대여명에 건강과 삶의 질 지표를 적용해 추산하는 방법으로 조사된다.
보고서에서 한국 의료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해 조사한 결과를 보면 장애가중치를 보정한 20세 여성 기준 건강수명이 ▲이혼·별거·사별한 경우 53.75세 ▲결혼한 경우 60.05세 ▲기타(미혼 등) 62.83세로 집계됐다. 이는 장애가중치를 보정한 기대여명 65.05세보다 각각 11.3년, 5.00년, 2.22년 낮은 것이다.
소득수준별 20세 여성의 건강수명과 기대여명의 차이는 소득 1분위 6.87년, 2분위 3.76년, 3분위 3.27명, 4분위 4.72년, 5분위 3.89년 등으로 저소득층의 건강수명의 감소 범위가 컸다.
교육수준별 건강수명도 차이를 보였다. 20세 여성은 중졸 이하 59.49세, 고졸 61.29세, 대졸이상 61.78세로 낮은 교육수준이 건강 수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직업 유무에 따른 건강수명도 유직 여성 60.34세, 무직 여성 59.76세로 달랐다.
보고서는 “여성의 건강수명은 소득수준, 결혼상태, 가족구성원 수 등 사회적 요인이 중요했다”며 “여성과 달리 남성은 운동, 음주 등 개인 건강 행태가 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또 보고서는 “여성의 건강수명을 높이려면 전반적인 사회구조 개선과 건강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세분화된 접근이 필요함을 알려준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근거기반의 효과적인 건강증진 정책 대안이 수립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