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지난해 9~10월 진행한 역사 교과서 발행 체제에 대한 여론조사에서 교사는 56%가 검정제를 찬성해 국정제를 택한 응답 41% 보다 높았던 반면, 학부모는 56%가 국정제를 찬성한다고 답했다.
전체적인 여론은 국정과 검정의 찬반 의견이 팽팽했다. 국정제와 검정제를 찬성한 비율은 각각 48.6%, 48.1%로 나타났으며 기타 및 무응답은 3.3%으로 집계됐다.
국정 교과서를 찬성하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이유를 설문한(복수응답 가능) 결과, 78.3%가 국가 차원의 통일된 역사교육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들었다.
이어 ‘교과서 내용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38.0%)’ ‘책값이 저렴하고 선정 과정의 부조리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18.8%)’ ‘하나의 교과서로 수능을 준비하기 때문(13.4%)’ 이 뒤를 이었다.
검정제를 찬성하는 이유로는 69.3%가 ‘다양한 관점의 역사해석’을 꼽았고 ‘교과서에 대한 국가의 규제와 간섭을 줄일 수 있기 때문(34.9%)’ ‘출판사 경쟁을 통해 좋은 교과서를 만들 수 있기 때문(26.4%)’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역사를 가르치는 초등학교 교과서는 국정으로, 중·고등학교 교과서는 검정제로 각각 발행되고 있다. 정부는 올해 9월까지 한국사 교과서의 발행체제를 결정할 방침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김민아 기자
mina8172@newscj.com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