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인구 유입 어촌 ‘활력’

[천지일보 전남=이지수 기자] 전남으로 귀어하는 가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도는 2014년 한 해 동안 서울, 경기 등 대도시를 비롯한 타 시도에서 도내로 귀어해온 가구가 265가구(493명)로 꾸준히 늘어나는 등 젊은 인구 유입으로 고령화 돼가는 어촌에 활력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257가구)에 비해 8가구(3%)가 늘어난 것이다.

전남도에 따르면 도내 귀어가 꾸준한 것은 베이비붐 세대들의 은퇴와 맞물려 전국 수산물 생산량의 45%를 차지하고 있고, 양식 면적이 가장 많은 전남에 귀어할 경우 상대적으로 고소득을 올릴 수 있는 기회가 많다는 점이 유리하게 작용했다.

특히 수산업의 고소득화로 50대 이하 귀어인구가 전체의 82%를 차지하고 있고 20~30대 젊은 세대의 귀어도 58가구에 달해 어업에 대한 젊은 층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군별로는 완도군이 65가구(25%)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가장 많고, 장흥군이 58가구로 22%, 해남군이 45가구로 17%, 여수시가 25가구로 9%를 차지해 수산업 소득이 상대적으로 높은 시군에 귀어 인구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업종별로는 조개류 양식이 85어가로 32%, 해조류양식이 64가구로 24%, 어선 어업이 45가구로 17%를 차지하는 등 귀어가들이 도내 고소득 업종인 김과 전복 양식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도는 어촌 정보화 및 전문 양식기술 지원 이외에도 귀어인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연 2%의 저리로 수산업 창업 2억원, 주택 구입 및 수리 4000만원 이내의 융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최종선 전남도 해양수산국장은 “앞으로 지속적인 귀어가 유입과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어업 진입 장벽 해소를 위한 제도 개선과 귀어 정착 컨설팅 등 다양한 정책 방향을 수립할 것”이라며 “청년이 돌아오는 전남을 실현, 고령화돼가는 어촌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