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업계 경영난에 실적 갈수록 악화 ‘죽을 맛’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철강업계의 불황터널이 끝이 보이지 않고 있다. 글로벌 철강공급 과잉과 중국발 저가 제품의 공습에 시달리고 있는 철강업계가 올해부터 시행되는 탄소배출권 거래제(ETS)로 인한 부담까지 떠안고 있어 말 그대로 암울한 상황이다.
이에 국내 철강업계 최고경영자(CEO)들은 올해 신년사에서 공통적으로 ‘위기돌파’를 경영 키워드로 제시하기도 했다.
최근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중국산 철강재 수입량은 1340만t으로 전년대비 34.9% 증가했다. 이는 철강 공급부족을 겪었던 2008년 1431만t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물량이다.
중국산의 수입 증가로 인해 지난해 전체 철강재 수입량은 전년대비 17.3% 늘어난 2274만 톤으로 잠정 집계됐다. 반면 일본산은 731만t이 수입돼 2013년보다 5.3% 줄었다.
무엇보다 중국산 수입 급증이 국내 수입 증가 때문이 아닌 중국 내 공급 과잉의 심화와 중치세 환급정책의 위·편법 악용에서 기인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중국 경제가 저성장 국면에 진입해 철강수요가 급격히 줄자 과잉생산된 물량을 수출로 돌려 국내에 저가의 중국 철강재가 밀려들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저가의 중국산 제품의 수입 증가는 고스란히 최대 수출대상국인 국내 업체에 큰 타격을 입히고 있는 실정이다.
이미 국내 철강업계는 저가 중국산 철강재의 공세로 실적이 급격히 악화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다. 동부제철의 경우 지난해 12월 열연생산을 중단하고 아예 중국산을 수입해 쓰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철강업체가 값싼 중국산 제품 가격에 맞춰 판매할 수밖에 없어 채산성을 맞추기 힘든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것이다.
또한 탄소배출 거래제에 따른 부담으로 인한 타격도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올해 처음으로 시행되는 제도인 만큼 정확한 비용 증가분을 예측하기는 쉽지 않지만 탄소배출권 공급량이 부족할 경우 비용 부담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철강업계가 정부에 요청한 탄소배출권 총량은 3억 2700만 톤(t)인 반면 정부가 책정한 배출 총량은 3억 600만t으로 2100만t이 부족한 상태다. 정부가 제시한 기준가격인 t당 1만원으로 환산할 경우 향후 3년간 비용 부담은 최소 2100억에서 최대 63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포스코 등 국내 철강업체들은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과 구조조정, 신시장 개척 등을 통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저가 철강재 공세와 엔저 등에 따른 경쟁심화 등으로 올해 수출 실적이 지난해보다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