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 전남=이지수 기자] 전라남도가 고병원성 AI 조기 종식과 구제역 유입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남도는 고병원성 AI의 조기 종식과 구제역의 유입 방지를 위해 ‘매주 수요일 일제소독의 날’ 운영을 확대, AI와 구제역이 진정될 때까지 소독과 예찰·점검을 매일 시행키로 했다고 밝혔다.
전남도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9월부터 전남지역과 전북, 경북에서 고병원성 AI가 산발적으로 계속 발생하고 지난 3일에는 충북 진천에서 8월 이후 4개월 만에 구제역이 발생해 본격적인 겨울철 추위와 겹쳐 차단 방역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위기감에서 비롯됐다.
특히 소독·출입 통제 등 농장단위 차단방역 소홀과 분변 처리 등 사후관리 미흡으로 ‘가축사육환경 조건이 악화될 경우 언제든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도 작용했다.
이번 강화 조치로 소규모 농가는 공동방제단(87개단)을 활용하고 매일 순회 방문해 소독을 실시토록 한다. 또 대규모 농가에 대해서는 농가단위 자율방역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도록 매일 소독과 외부인·차량 출입통제를 철저히 하도록 지도·홍보에 나선다. 아울러 전담 공무원(212명)이 이행 상황을 수시로 확인한다.
닭·오리의 실질적 소유자가 계열화 사업자이면서 그동안 방역관리를 농가에만 일임하고 계열화 사업자는 소홀히 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지난 8월 시범 도입한 ‘계열화 사업자 책임관리 제도’가 조기에 정착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계열화 사업자가 소속 농가에 대해 정기적으로 소독, 예찰 지도와 방역실태를 점검해 행정기관에 제출토록 할 예정이다. 전남지역 계열화 비율(%)은 닭 4개소 93.8%(전국 91%), 오리 13개소 91.9%(전국 89.5%)다.
권도석 전남도 축산과장은 “9월 이후 AI 발생은 농장의 소독 소홀과 외부인·차량 출입통제 미흡으로 인한 전파로 추정되고 현재도 야외에 바이러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상시 방역이 매우 중요하다”며 “농가에서는 내 농장은 내가 지킨다는 책임 의식을 갖고 매일 농장 소독과 출입통제를 더욱 엄격히 하고 가축 사육밀도를 준수해 쾌적한 환경과 햇볕 등 자연 면역력 획득으로 질병 예방에 힘쓰며 질병이 의심되면 발견 시 방역기관에 신속히 신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낙후지역 개발’ 전남 개발촉진지구 지도 완성
- 전남도, 나무은행 예산 효율화 우수사례 선정
- 전남 친환경 농업인, 유기농 실천 결의
- 亞문화전당 주변 보행환경 개선… ‘인도 넓히고 장애물 없애고’
- [광주-서구] 선미숙 명창 초청 ‘춘향가Ⅱ’ 27일 공연
- 전남도, 수도권 중소기업 투자유치 잰걸음
- 전남도, 겨울철 저소득층 사랑의 연탄 지원
- 고흥 거금도, 난대상록활엽수림 보존 가치 높아
- 전남도, 어선 안전 지도 나서
- 전남도, 해양에너지 실증시험장 유치 잰걸음
- 전남도, 홀로 사는 어르신 ‘따뜻한 겨울 나기’ 총력
- 전남도, 지식재산 기반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
- 전남도, 2015년 노인 일자리 대폭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