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가이 카즈 교토대학교 교수가 14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열린 ‘전시 성폭력 근절을 위한 국가책임 이행과 시민사회의 역할’ 국제심포지엄에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천지일보=김예슬 기자] 여성가족부가 후원하고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주최하는 ‘전시 성폭력 근절을 위한 국가책임 이행과 시민사회의 역할’ 국제심포지엄이 14일 오후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열렸다.

심포지엄은 한·중·일 전문가 등이 모여 일본군 위안부 피해 문제와 관련해 아시아 피해 국가들의 동향과 과제를 살펴보고 이 문제를 포함한 전시 아동·여성 성폭력 근절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감대 형성 및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은 축사를 통해 “전시·분쟁 지역에서 발생하는 여성 성폭력이 그치지 않고 있다. 이는 과거에 일으킨 범죄에 대한 진상규명과 반성,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라면서 “여성에 대한 성폭력이 종식되고 나아가 여성의 인권이 보호받는 인류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기조연설자로 나선 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상임대표는 “일본정부가 ‘위안부’ 피해자들이 소망하는 대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우리 모두가 각 분야에서 더 적극적으로 행동해야 한다”면서 “특히 한국정부는 한·일 정부의 정치적 위기를 임시로 모면하기 위한 방식으로 이 문제를 타결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중국 위안부 연구센터에서 활동하고 있는 소지량 상해사범대학교 교수는 “지난 20년간 중국 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조사해왔다. 그 결과 상하이에만 160개의 위안소가 있었으며 피해자 대다수가 조선의 여인들이었다”고 말했다.

소지량 교수는 “중국 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은 1995년부터 일본 법원에 일본 정부의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해왔으나 다 패소했다. 이는 일본 법원이 일본 정부와 마찬가지로 올바른 역사관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올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한국에 방문했을 때 박근혜 대통령과 위안부 문제를 공동으로 조사, 연구하기로 했다”면서 “평화를 외치는 이 시대에 일본 정부가 조속히 전쟁 범죄를 인정하고 전 세계에 평화가 올 수 있게 노력해야 한다”고 전했다.

나가이 카즈 교토대학교 교수는 ‘일본군 위안소 시스템의 진실’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일본군 위안소는 일본군이 소속 장병의 성욕을 처리하기 위해 설치한 일종의 후방지원시설이다. 즉 군사시설이기 때문에 정부에 책임이 있다”며 “이는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라고 전했다.

이날 행사는 ▲1부 ‘전시 성폭력의 진실 및 과제’ ▲2부 ‘전시 성폭력 국가책임에 관한 한·일 양국 정부의 대응 및 과제’로 나눠 진행됐다. 2부에서는 조세영 동서대학교 교수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한·일 양국 정부의 대응 및 과제에 대해, 아베 고키 가나가와대학교 교수가 전시 성폭력 해결을 위한 국제법의 역할 및 대안에 대해, 이재승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들의 권리와 국가책임에 대해 각각 주제발표를 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